학술논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의 음악놀이 경험 탐색: 크롬 뮤직랩을 중심으로
이용수 405
- 영문명
- Exploring Children's Music Play Experiences Using Digital Media: Focusing on the Chrome Music Lab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구민경 김가현 최미영
- 간행물 정보
- 『영유아음악교육연구』제2권 제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의 음악놀이 경험을 탐색하여 유아 음악 놀이를 이해하고 의미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Y유치원과 B어린이집 만 5세 유아 4명으로 2023년 5월 8일부터 6월 9일까지 5주간에 걸쳐 크롬 뮤직랩을 중심으로 음악 놀이가 진행되었다. 내용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음악 놀이에 대한 범주화 유형을 적용하여 유아들의 말과 행동, 표상자료, 교사 저널 등에서 유아의 음악 놀이에 관한 다양한 반응을 토대로 ‘음악과 만나기’, ‘음악 속으로 들어가기’의 2개 대주제와 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하위주제는 ‘예술적 요소와 만나는 음악 놀이’, ‘몸으로 만나는 음악 놀이’, ‘음악적 경험의 확장’, ‘새로운 음악놀이로’의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들이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음악 놀이가 더욱 다양해지고 넓어짐과 동시에 적극적인 음악 놀이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음악 놀이 속에서 의미 있는 경험을 이루고 음악적 능력의 발달과 더불어 음악적 경험을 확장해가는 과정을 통해 본 연구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 음악 놀이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ldren's music play and examine its meaning by exploring children's music play experiences using digital medi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our 5-year-old children at Y Kindergarten and B Daycare Center located in C City, and music play sessions were conducted utilizing the Chrome Music Lab over a five-week period from May 8 to June 9, 2023. By analyzing the contents, two main themes, ‘meeting music’ and ‘entering music’, and four subtopics were derived based on the children's diverse reactions, including their words and behaviors, to the music play sessions and based on representation materials and teacher journals. The sub-topics were ‘music play meeting artistic elements’, ‘music play meeting with the body’, ‘the expansion of musical experiences’, and ‘to new music pla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hildren use digital media to behave more diversely in music play sessions while leading to active music play. Through the process of achieving meaningful experiences in music play and expanding musical experienc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usical abil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music play using digital medi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