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스마트폰 활용역량 차이에 따른 사용경험 연구
이용수 3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Using Smartphone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Smartphone Literacy among the Older Adults
- 발행기관
- 한국노년학연구회
- 저자명
- 도화정
- 간행물 정보
- 『한국노년학연구』제32권 제2호, 113~1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노인은 스마트폰 사용경험에 관한 대다수의 연구에서 디지털 취약계층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노인마다 스마트폰 활용역량은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역량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관련 경험과 욕구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만 71세부터 90세 사이의 노인 8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경험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내용을 주제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제와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스마트폰 사용 장벽’이었는데, 스마트폰을 늦은 나이에 접한 노인들은 신체 노화와 주변의 지지 부족 등으로 스마트폰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두 번째 주제는 ‘스마트폰 사용과정’이었는데, 스마트폰 활용역량이 낮은 노인은 스마트폰의 한정된 기능만을 사용하고 있었던 반면 높은 노인은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사회적 관계 맺기나 취미생활을 즐기고 있었다. 세 번째 주제는 ‘스마트폰 활용 욕구’인데, 활용역량이 낮은 노인은 사회적 교류나 새로운 정보 추구의 욕구가 컸던 반면 높은 노인은 스마트폰을 젊은 세대처럼 활용하면서 디지털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고자 하는 욕구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역량에 따라 노인의 스마트폰 사용경험과 욕구, 그리고 스마트폰에 대한 적응과정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서 노인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이나 제공의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lder adults have been considered as a digitally vulnerable group in most studies on their smartphone usage experience, but their capability of using the smartphone may vary from person to person. Therefore, it was examined how the differences in both smartphone usage experience and needs appear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members of a senior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aged from 71 to 90 years. As a result of thematic analyses of the interview contents, three themes and twelve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irst theme was ‘barriers to utilizing the smartphone’, and older adults who began to use smartphones at a later age had difficulties in using them due to physical aging and lack of support from people close to them. The second theme was ‘process of utilizing the smartphone’, and older adults with low smartphone literacy were using only limited functions of the smartphones whereas those with high literacy were enjoying social relationships and hobbies through a variety of smartphone functions. The third theme was ‘needs for utilizing the smartphone’, and older adults with low literacy had high needs for seeking social interactions and new information whereas those with high literacy showed needs of adapting to the change in the digital society by utilizing smartphones like younger gener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age experience and needs as well as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smartphone of the older ad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martphone literacy in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the necessity of organizing or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as suggested.
목차
I. 서론
Ⅱ.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