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교육적 관점에서 바라본 가상공간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49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Virtual Space Cognition in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조원상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72집, 249~295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메타버스’로도 불리는 가상공간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의 대안적인 공간이었지만, 점차 사회 전반적인 영역에서 활발히 주목받고 있다. 미술과 교육 분야에서도 이와 같은 가상공간의 특성에 주목하여 가상공간을 활발히 도입하고 있다. 미술 분야에서는 VR 전시회나 3D 페인팅 등의 모습으로 가상공간을 다루고 있는데, 국내외를 막론한 유명 미술관·박물관에서는 VR과 AR을 이용한 전시회가 새로운 유행이 되고 있다. 또한 교육 분야에서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매치업(Match業)’ 사업이나 VR·AR 교실을 구축하는 등 가상공간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상공간 인식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미술 및 교육 분야에서도 가상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가상공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가상공간을 이용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해결되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결국, 관람자는 미술 작품을, 학습자는 학습자료를 제대로 인식해야 그것들의 목적이 실현되는 것처럼 가상공간 또한 하나의 미술 작품 혹은 학습자료로써 체험자에게 효과적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공간 인식 장면을 포착하기 위해 5, 6학년 초등학생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과 함께 총 4차례의 가상공간 전시회를 관람하였다. 그리고 반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연구 참여자들의 가상공간 인식 체험에 대한 관찰과 심층 면접의 결과를 토대로 가상공간 인식의 본질적 요소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신체를 통해 가상공간에 익숙해지기’, ‘가상공간의 내·외적 특징 파악하기’, ‘나를 중심으로 가상공간 속에 몰입하기’, ‘가상공간에 경험과 전략 활용하기’의 4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Virtual spaces are caledl ‘metaverse’, and widely used in many fields. In art, there are many examples using virtual spaces like VR exhibitions and 3D painting. In addition, the education field is also focusing on virtual spaces in its policies. This study try to investigate the essentials of the virtual space cognition because it’s the most mportant principle of designing virtual spaces. It conducted four virtual space exhibitions with five participants, and was undertaken through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y method. So it has come to the four conclusions, which are ‘Getting used to virtual space through the body’, ‘Understand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virtual space’, ‘Being immersed in virtual space around myself’, and ‘Using experience and strategy in virtual space’. These are expected to be the important implications for an art education with virtual spa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공간의 철학적 의미와 가상공간
2. 미술과 가상공간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 반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
2. 구체적인 연구 절차
Ⅳ. 연구 결과
1. 신체를 통해 가상공간에 익숙해지기
2. 가상공간의 내·외적 특징 파악하기
3. 나를 중심으로 가상공간 속에 몰입하기
4. 가상공간에 경험과 전략 활용하기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상. (2023).미술교육적 관점에서 바라본 가상공간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 249-295

MLA

조원상. "미술교육적 관점에서 바라본 가상공간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023): 249-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