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00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rt and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Focusing on the Case of Senior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재예 이정은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72집, 221~24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부는 개정 2022 교육과정에서 미래 역량으로 디지털 소양을 강조한다(교육부, 2022). 또한 유네스코(2017)의 경우, 21세기 학생들이 필요한 기술(21st-century skills) 중 ‘정보 통신 기술을 효과적이고 비판적으로 활용하는 역량’을 강조하는데 이는 청소년들이 직업을 구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과 세계 시민으로 사회에 완전히 참여(full participation)하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를 개발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미술 교과에서 주목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들과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들을 참고해 미술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그 요소로 미디어 활용 역량, 창의‧융합 역량, 온라인 협업 역량, 비판적 문화 향유 역량, 시각문화 향유 역량을 구성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미술 수업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수동적 감상자’에서 ‘창의적 제작자’가 되었고 이는 창의‧융합 역량과 시각문화향유 역량 함양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미디어 활용(역량)에 대해 연구자가 생각했던 요소와 학습자가 생각한 요소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취도 또한 격차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비평 역량 관련해서는 본 연구에서 진행한 프로그램 보완 및 수정 사항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 교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관한 기초연구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술 교과는 무엇을 어떻게 고찰해야 할 것인지 그 방향성을 실제 학습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탐색하고 제언하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digital literacy as a future competency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22). UNESCO(2013)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as one of the 21st-century skills that students need, specifically the ability to effectively and critically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ing digital literacy is crucial for young people to secure employment, engage fully as global citizens, and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So, what ar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art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what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mean in art education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and art, and identifies five elements that constitut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art education: media literacy,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competency, online collaboration competency, critical cultural consumption competency, and visual culture consumption competency. Based on these elements, the study conducte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rt classes, and analyzed changes in their competencies through surveys, interviews, observ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The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shifted from being 'passive consumers' to 'creative producers' of art,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competency and visual culture consumption competenc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and their actual achievement, and the study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in media criticism competency.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explor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art education. As the demand for digital literacy increases, this study offers insight into what and how art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and propos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actual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 리터러시와 역량
1.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술 교육
2.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Ⅲ.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프로그램의 실제
1.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2.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Ⅳ. 프로그램 성찰 및 역량 평가 해석
1. 수동적 감상자에서 창의적 제작자로
2. 연구자의 예상과 달랐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3. 프로그램 종결 후 ‘미디어 활용 역량’이 감소한 이유
4. 미디어 비판 역량에 대한 경험 부족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예,이정은. (2023).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 221-248

MLA

이재예,이정은.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23): 221-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