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교육지수 개발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11

영문명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lans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Index
발행기관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저자명
이광현 홍지영
간행물 정보
『지방교육경영』제15권 제3호, 46~66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의 교육지수 개발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 향후 교육지수의 성공적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인적자원지수, 교육만족도지수, 평생교육지수, 교육격차지수, 교육정보화지수, 교육지수개발 연구 등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교육관련 지수개발 사업이 일회성으로 그치고 지수의 정책적 사용도를 높이지 못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지수개발이 성공적이지는 못했다. 국내지수개발사례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과제를 얻을 수 있다. 먼저 교육지수의 정책적 효용성에 대한 판단을 근거로 지수개발을 해야 한다. 두 번째로는 구체적인 영역과 목적에 기반하여 세부적인 교육지수를 개발해야 한다. 광범위한 범주의 모호한 교육지수는 이용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교육지수로서 역할을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는 지수개발에 있어서 연속성을 갖추어야 한다. 지표체계를 만들고 지수를 매년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가면서 지표와 지수산출 방법을 개선해나가야 IMD의 교육경쟁력지수처럼 성공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분야의 자료 한계를 극복해나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연간자료와 더불어 통계청과 한국은행의 교육관련 분기별 자료를 발굴해내서 분기별 교육관련 지수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nvestigates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educational index after taking a look at the current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index. In Korea, studies on the human resource index, educational satisfaction index, life-long education index, educational gap index, educational information index have been implemented. However, the studies were not sustainable and successful because the studies did not provide useful index. Thus, we can obtain following lessons from the past experience of development of educational index. First, we need to develop education index based on the usefulness of educational index in terms of educational policy making. Second, we need to develop educational index based on the specific purpose and area. Educational index based on broad category would not be useful. Third, we need to develop education index annually. After making systematic education indicators, we need to improve the methodology and indicators for the better index. Last,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ducational data. We need to develop quarterly educational index by searching data produced by Korean Bank and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addition to the annual index.

목차

I. 서론
Ⅱ. 교육지수의 이론적 배경
Ⅲ. 교육지수 사례 분석
Ⅳ. 결론 - 국내 지수개발 노력 결과와 교훈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광현, 홍지영. (2011).한국의 교육지수 개발연구의 현황과 과제. 지방교육경영, 15 (3), 46-66

MLA

이광현, 홍지영. "한국의 교육지수 개발연구의 현황과 과제." 지방교육경영, 15.3(2011): 46-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