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원감의 자격 유형에 따른 유치원 운영실태 분석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1
- 영문명
- A Study on the Actual Status of Kindergarten Operation according to the Vice Headmaster Qualification Type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전용환 박경예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8권, 141~15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kindergarten operation and management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ccording to the vice headmaster of kindergarten has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or no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working at kindergarten in Gyeungsangbuk-do. For a survey,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y mail or direct visiting. The responses from 188 teachers(94%) were chosen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SPSS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roup variables and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in order to know degree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there are m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eration, management kindergarten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 of certificate possessed by the vice headmaster of kindergarten.
Therefore, in order to be normal in kindergarten education and operation, it is necessary that kindergarten administration's qualification condition has to be more severed than present systems that the vice president of elementary school can hold an additional post to vice headmaster of kindergarten.
목차
Ⅰ. 서론
Ⅱ. 유치원 원감의 자격유형과 역할
Ⅲ. 유치원 운영관리 영역
Ⅳ. 실태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교육재정 배분 및 운영의 합리화 방안
- 청소년 소비문화에 관한 조사연구
- 개화기 유길준의 교육개혁이론 고
- 교육행정연구의 대안적 패러다임 탐색: 문화적 접근법
- 유치원 원감의 자격 유형에 따른 유치원 운영실태 분석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성
- 학교체육 지도자의 지도성 유형에 관한 연구 -수영경기를 중심으로-
- 청소년 정보문화의 전망과 과제
- 우리나라 중앙정부의 지방대육성 정책 평가 및 과제
- 지역 초ㆍ중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 교육 및 임용 정책 방향
- 학교운영 개선을 통한 지방 초ㆍ중등교육 활성화
- 지방교육자치제도 개선을 통한 지방 초ㆍ중등교육의 활성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