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체적 상속분의 법적 성질

이용수 260

영문명
Legal Nature of Concrete Inheritance Share
발행기관
한국민사법학회
저자명
이동진
간행물 정보
『민사법학』제103호, 49~8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민법은 공동상속이 일어나는 경우 공동상속인이 피상속인의 권리의무를 공유한다고 정한다. 이때 공유의 비율은 원칙적으로 법정상속분이다. 문제는 특별수익자나 기여상속인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이때 상속재산분할의 비율이 특별수익과 기여분을 고려한 이른바 구체적 상속분에 의한다는 데는 의문이 없다. 그러나 상속재산분할 전의 공유관계의 비율도 구체적 상속분에 의하는지는 반드시 분명하지 아니하다. 이 문제는 가분채무의 분할귀속비율, 분할 전 관리에 관한 정함의 방법, 분할 전 과실(果實)의 귀속비율 및 무엇보다도 분할 전 지분처분의 범위에 관계한다. 종래 우리 판례는 가분채무의 귀속에 관하여는 법정상속분에 의함을 분명히 하면서도 다른 쟁점, 특히 분할 전 지분처분권의 범위에 대하여는 구체적 상속분을 기준으로 하는 듯한 판시를 하고 있었다. 이는 과거 일본 학설의 영향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후 일본 판례와 학설상의 논의는 물론, 프랑스, 독일의 논의를 참조하여 보아도, 우리 법규정의 문언과 체계, 관계자들 사이의 이익형량에 비추어보아도 이러한 결론은 납득하기 어렵다. 이 경우에도 원칙적으로 법정상속분에 의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 상속분이 고려되어야 하는 상황이 있음은 분명하나, 적어도 지분처분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이는 상속재산을 구성하는 개개의 권리나 의무에 대한 공유관계 이외에, 특별수익과 기여분을 고려한 가상(假想)의 총 상속재산에 대한 포괄적 공유관계라는 이중적 공유관계를 상정함으로써 설명된다. 이 경우 두 공유관계의 지분은 모두 법정상속분인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예외적으로 구체적 상속분이 고려되어야 하는 상황의 해결에도 기여한다.

영문 초록

The Korean Civil Code stipulates that, in the event of joint inheritance, the co-heirs co-owns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decedent. The ratio of each share is, in principle, determined by the so-called statutory inheritance share. A problem arises, however, when there are advances for some heirs or contributions from some heirs.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division of co-owned estate should be based on the so-called concrete inheritance share that takes into account advances and contributions. It is not clear, though, whether the co-ownership of the estate before the division is also based on the same ratio, the concrete inheritance share. This issue is relevant when to decide the attribution of divisible debt, the way to administrate the estate before division, the attribution of pre-division fruit, and the scope of power to dispose of inheritance share before division, among others. In the past, Korean case law has made it clear that the attribution of divisible debt shall be based on statutory inheritance, but other issues, especially the scope of power to dispose of share before division, seem to be related to the concrete inheritance share. This is an influence of Japanese legal scholarship. More recent Japanese case law and legal literature as well as French and German discussions, however, do not adopt such an approach.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such a conclusion is difficult to reconcile with the wording and system of Korean legal text and hits the balance of interests among the related parties. Statutory inheritance share should be the only criterion for the co-ownership of individual rights and obligations in the estate. Undeniably, there are circumstances where concrete inheritance shar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ut this is not the case, at least not for the disposal of share of individual object in the estate. This conclusion can be is supported by the concept of double co-ownership: co-ownership in the individual rights or obligations that constitute the estate, as well as co-ownership in the hypothetical estate in total, taking into account advances and contributions, both of which presuppose only one concept of inheritance share, i.e. statutory inheritance share. This explanation also contributes to the resolution of exceptional situations where concrete inheritance share must be considered.

목차

I. 서론
II. 우리 민법의 상황
Ⅲ. 비교법적 고찰
Ⅳ. 해석론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진. (2023).구체적 상속분의 법적 성질. 민사법학, (), 49-84

MLA

이동진. "구체적 상속분의 법적 성질." 민사법학, (2023): 49-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