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업연계 창업교육 표준모형 수립

이용수 148

영문명
Establishment of Metaverse-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발행기관
표준인증안전학회
저자명
변영조 김재영
간행물 정보
『표준인증안전학회지』제13권 제2호, 37~5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까지 코로나 19라는 예상하지 못한 감염성 질환의 확산으로 대학 내 비대면 교육의 전파는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대학의 인프라 또한 교원들의 연구실에 각종 웹카메라 장비와 조명, 그리고 고성능 마이크 등이 완비되었고 교수자 또한 비대면 교육에 적합한 교수설계 및 수업내용으로 변화시켜 왔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창업교육 진행 시 효과적인 수업운영을 위한 표준모형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대학의 학제적 성격의 융합전공에 개설된 기업연계 창업교육에 교수학습모형 중 전통적인 PDI 방법론을 적용하여 사전준비-교과개발-개선 작업을 시행하였다. 해당 교과는 실험적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상의 회사를 운영해 보도록 하고 15주간의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시간마다 수업내용, 상호작용방식,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의 이해도 측면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환경과 오프라인 수업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원격 수업으로 인한 의도치 않은 외부요인이 수업의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의의 실재감은 이론학습과 발표 시 오프라인 강의환경에서의 학습과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오히려 사전 자료공유, 온라인 발표 등에서 오프라인 환경보다 더 편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참여자의 수업 분위기 측면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기능사용에 대한 학습이 선행 될 필요가 있었다. 이번 교과에서 활용한 게터타운 프로그램의 기능활용에 대한 학습자 숙련도 부족으로 인하여 카메라를 통하여 상호작용하는 Zoom과 큰 차이를 못 느꼈다는 답변에 따라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상,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의 활용 능력이 수업의 효과적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기업경영 및 창업 교육에 대한 사전지식의 중요성이다. 실전형 기업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경영학적 지식을 확보해야 수업운영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업연계 수업에 대하여 기업요구사항의 명확한 파악, 문제해결을 위한 긴밀한 협조 등을 위해서는 기업-교수자․학생 간 오프라인 미팅의 횟수가 늘어나야 하고 교과목 설계단계에서부터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달성과제의 범위와 목표를 명확히 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특정 대학의 창업교과 운영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이를 표준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지만, 기업과 연계하여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수업이 가능한 교수설계를 시도한 점에서 학문적인 시사점, 한 학기 동안의 수업내용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및 교과운영에 대한 문제점을 상세하게 분석한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o present various alternatives for effective class operation using metaverse platforms when conduc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study presents a standard model for effective class operation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The traditional PDI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preparation - curriculum development -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linked to enterprises of the university's interdisciplinary major. In this course, students were experimentally allowed to operate a virtual company using the metaverse. During the 15-week class, learners were asked for their opinions on the course content, interaction method and improvement measures every class time,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using the metaverse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class. However, noise and disconnection caused by individual differences in microphone performance and online connection status of participants were factors that interfered with the class. Second, in terms of the presence of the lec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ffline lecture environment in the learning of theoretical learning or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materials. Rather, it was found that it feels more convenient than the offline environment when sharing and presenting presentation materials. Third, in terms of the class atmosphere of the learning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use of the functions of the metaverse platform in advance. As a result of the answer that the actual class was conducted through video calls due to the lack of proficiency in the use of the functions of the Gather Town program used in this course, it was found that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class is affected by the use of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platform. Fourth, the importance of prior knowledge of corporate management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order to solve real-world corporat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cquire basic management knowledg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lass operation. Finally, for enterprise-linked courses, in order to clearly grasp the requirements of the startups, close cooperation for problem-solving, etc., the number of offline meetings should be increased and the scope and goals of the achievement should be clearly defined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from the design stage before the start of the class.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 case of an entrepreneurship course at a specific university,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standardizing it, but it provides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it attempted to design a professorship in which classes are possible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in conjunction with startups,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analyzed the course content and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d problems in class operation in detail for one semest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메타버스 기반 창업교육 표준모형 적용 수업설계
Ⅳ.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영조,김재영. (2023).메타버스를 활용한 기업연계 창업교육 표준모형 수립. 표준인증안전학회지, 13 (2), 37-58

MLA

변영조,김재영.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업연계 창업교육 표준모형 수립." 표준인증안전학회지, 13.2(2023): 3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