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 · 중학생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부적응 간 관계에서 학습무동기의 매개효과

이용수 8

영문명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motivation in the Relations between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toward students and School Maladjustment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대한사고개발학회
저자명
유계환
간행물 정보
『사고개발』제14권 제3호, 43~6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인 과잉기대, 방치, 과잉통제가 학습무동기와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학습무동기가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613명(초등학생 291명과 중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 척도, 학습무동기척도 및 학교생활부적응 척도를 설문 실시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통하여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 중 과잉기대는 학습무동기의 가치부족, 능력부족, 흥미부족과는 상관을 보이고 있으나 노력부족과는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다. 방치나 과잉통제는 학습무동기의 능력부족, 흥미부족, 노력부족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에 비해 가치부족과는 비교적 낮은 상관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학습무동기는 과잉기대와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무동기는 방치, 과잉통제와 학교생활부적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학습무동기를 함께 고려하여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 뿐 아니라 학습무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부모의 지지적 양육뿐만 아니라 학습동기를 높여줌으로써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지역적인 한계와 횡단연구라는 제한점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out whether excessive expectation, neglect and excessive control, which are among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would influence the learning amotiva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ere administered an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scale, a learning amotivation scale and a school maladjustment scale to 613 students(291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22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excessive expectation of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is correlated with lack of value, lack of ability, lack of interest, but not with lack of effort. Negative and excessive controls have a relatively low correlation with lack of value compared to those with lack of competence, lack of interest, and lack of effort. In addition, learning amotivation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expecta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Learning amotivation has partial effect on the relationships of neglect control and excessive control to school maladjustment.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 addition to the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learning amotivation is a factor affecting school maladjustment and it can help to school life by letting the learners get out of their amotivation as well as guiding their parents to change their own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This study has regional limitations, and as a cross - sectional research calls for further longitudinal investig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계환. (2018).초 · 중학생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부적응 간 관계에서 학습무동기의 매개효과. 사고개발, 14 (3), 43-64

MLA

유계환. "초 · 중학생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부적응 간 관계에서 학습무동기의 매개효과." 사고개발, 14.3(2018): 4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