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1-2012 년 창의력관련 연구의 통합적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Integrative Analysis of the Creativity Researches Performed During 2001-2012
발행기관
대한사고개발학회
저자명
정미선 정혜인 정세영 김영채
간행물 정보
『사고개발』제9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1. 1 - 2012. 8월 사이에 출판된 국내의 박사학위 논문들 가운데 창의력(창의성)을 토픽으로 하고 있는 196편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연구들의 유형과 각 유형별 내용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통합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창의 력 교육/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검증하고 있는 60편에 대하여서는 별도로 메타분석의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효과의 크기를 확인해 보았다. 주요한 결론들울 보면 ( i ) 창의 력 관련의 연구들은 전체 교육계열 박사학위 논문의 3.47%로서 비교적 다양하게 그리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리고 특히 실험/효과검증 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ii) 척도개발 연구에서는 창의적 성격 검사, 교과목별 창의력 검사와 판별검사들의 개발이 많았고, 그리고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1척도들 가운데는 TICT 검사가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였다. (iii) 상관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창의적 성격들 간의 관계를 많이 다루었고 그 다음은 지능, 자기 효능감 및 교수-학습 방법 등이었고, (iv) 창의력 교육/개발 프로그램들이 사용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로는 CPS와 이의 수정본, 각종의 예술 활동, 매체와 독서, 사고력 수업과 기존의 인지 프로그램 페키지들이 였으며, 그리고 (V) 개발하여 검증하고 있는 이들 교육/개발 프로그램들은 ES=1.08로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의 개발에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 결론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 이에 수반하는 과제들울 같이 논의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been established to review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 creativity studies with the doctoral theses performed during the years of 2001 - 2012 in Korea. The doctoral theses which used 'creativity' as topic of the study were selected to make 196 in all. Further, these 60 theses among them which had been design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ity programs/packages were analyzed with meta-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 Major conclusions drawn include: (i) creativity researches had been relatively actively performed with very diverse topics to be 3.47% of the total doctoral theses in education field. Among them, the studies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ity education/development programs were most frequently investigated. (ii) In test/scale development studies category, creative personality tests, creativity tests in diverse curricular domains and identification tests had been targeted most. And, though very diverse tests/scales had been used in the these studies, ITCT were most frequently employed. (iii) In the correlational studies category, the most often investigated variables wer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n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followed in the order. (iv) The creativity education/development programs developed had employed the theoretical rationale such as CPS or its revised version, different arts activities, media use and reading, thinking instructions and cognitive packages, and all of them were found very useful, and (v) these education/development programs were found very effective with ES = 1.08 in all.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se detailed conclusions and their implications have been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선,정혜인,정세영,김영채. (2013).2001-2012 년 창의력관련 연구의 통합적 분석. 사고개발, 9 (1), 1-26

MLA

정미선,정혜인,정세영,김영채. "2001-2012 년 창의력관련 연구의 통합적 분석." 사고개발, 9.1(2013):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