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을 위한 여가산업 분야 정책 제안
이용수 275
- 영문명
- Policy Proposal for the Leisure Industry Sector: A research for the 2nd National Leisure Activation Plan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전성범 장찬희 김매이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1권 제2호, 205~2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1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이후 여가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여가산업 관련 정책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가산업 범위의 조작적 정의를 위해 스포츠, 관광, 엔터테인먼트, 게임, 플랫폼 비즈니스 등 5개 분야로 산업을 분류하였다. 각 여가산업 세부 분야의 전문가들을 섭외하여 포럼단을 구성하고 포럼 의견 수렴의 과정을 거쳤다. 추가적인 전문가 면담, 여가산업 우수사례, 선행연구 등의 자료 수집과 분석을 진행하여 향후 5년간 도입할만한 여가산업 육성 정책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정책은, 스포츠산업 하위에 국민체육센터/국민체력센터 지자체 연계 및 이력관리, 공공 체육시설 디지털화, 사회적 기업을 통한 공공 여가 및 스포츠서비스 전달체계 혁신 등 3개 정책; 관광 산업 하위에 누구나 워케이션, 둘레길 활성화, 둘레길 연계 및 거주지 주변 걷는 길 정보 구축 등 2개 정책; 엔터테인먼트 산업 하위에 한류 산업 및 관광의 내국인 연계 인프라 구축, 한류 산업 관련 종사자 지원/양성 및 아카데미 지원, 한류결합관광서비스 개발 및 다문화가정 해설사 양성 등 3개 정책; 게임 및 디지털 산업 하위에 성인 대상 온라인 게임 정책, 다양한 여가분야 산업의 게임화 지원, 게임 개발 여가활동 프로그램 제공 등 3개 정책; 플랫폼 비즈니스 산업 하위에 여가정보의 효율적 제공, 지역사회 여가플랫폼 구축, 플랫폼 비즈니스 규제 정립 및 완화 등 3개 정책으로 총 14개 정책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적절한 관련 부처 및 지자체와의 협업, 책임 부서에 대한 지원, 관련 인프라 구축, 법체계 정비 등 복합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pose new leisure industry related policies This study categorized the leisure industry into five areas, including Sport, Tourism, Entertainment, Games, and Platform businesses. Experts in each of these fields were invited to the forum and gathered their opinions. In addition, case study, expert interview, literature review were implemented for additional data. The study identified 14 policies across the five categories. Under sports, the policies include government-local cooperation for public sports centers, digitaliza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innovation in the delivery of public leisure and sports services through social enterprises. The tourism category proposed policies for the activation of walking trails, development of residential walking paths, and building an infrastructure for workation. The entertainment category included policies such as supporting the domestic market of Hallyu, developing Hallyu-combined tourism services, and training multilingual tour guid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games and digital industry, policies included supporting adult-targeted online games, providing game development programs for various leisure fields, and promoting gamification. Finally, platform business policies proposed efficient provision of leisure information, constructing a community leisure platform, and establishing and relaxing platform business regulations. This study recomme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consid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work with relevant departments and local governments to implement the policies, provide support to responsible departments, build necessary infrastructure, and revis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행동이론의 확장
-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이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중국 태권도 생활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의 전략적 발전방안
- 중국 국가대표 우슈 투로(套路)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심리적, 사회·환경적 영향요인 탐색 연구
-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여가교육정책에 관한 소고
- 한국무용 브랜드자산이 관계지속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생존(안전)수영 교육현황에 관한 탐색연구
- 학교 체육에서 가상 현실 적용
- 대학교양체육 교수자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좋은 수행을 위한 심리·인지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 모델을 적용한 Pandemic 시대 홈트레이닝
- 핀란드의 삶의 질 수준과 행복의 의미
-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을 위한 여가산업 분야 정책 제안
-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스트레스전략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