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Relatedness Support from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for Students' Good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손원호 양재영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1권 제2호, 133~1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체육 교수자들이 수업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심리 및 인지적 요인(자기결정 동기, 자기효능감, 기대가치 요인)에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A도에 위치한 두 개의 대학에서 교양체육수업에 한 학기 동안 참여한 총 265명(남:153명, 여:112명; 1-4학년)의 대학생을 포함한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한 학기 종료 시점에서 3개의 설문지를 작성했고, 수집된 자료는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에서 교수자의 관계성지지는 학생들의 수행에 대한 자발적 동기(내재적 동기), 자기효능감, 기대믿음, 중요성, 흥미, 유용성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양체육수업에서 교수자들이 학생 수행에 대한 개인적인 소통과 피드백, 친근한 언행, 적극적인 상호작용, 협동 중심의 과제활동 등을 제공해 준다면 학생들의 적극적인 노력, 몰입, 수행에 대한 자신감, 즐거움, 학습 성취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relatedness support based on social interaction provided by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fluences the major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self-determined motivation, self-efficacy, and expectancy-value factors) exerting a positive impact on university students' performance. Participants included a total of 265 university students (Male: 153, Female: 112; 1st-4th grade levels) who participated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wo universities located at A province for one semester. The students filled out three questionnaires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the results were generated using sim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edness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self-efficacy, expectancy-value belief, importance, interest, and useful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use personal communication and feedback on student performance, friendly words and actions, active interaction, and cooperative task activities in the classes, it can be a good strategy to increase students' active effort, immersion, confidence in performance, enjoyment, and levels of learning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행동이론의 확장
-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이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중국 태권도 생활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의 전략적 발전방안
- 중국 국가대표 우슈 투로(套路)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심리적, 사회·환경적 영향요인 탐색 연구
-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여가교육정책에 관한 소고
- 한국무용 브랜드자산이 관계지속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생존(안전)수영 교육현황에 관한 탐색연구
- 학교 체육에서 가상 현실 적용
- 대학교양체육 교수자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좋은 수행을 위한 심리·인지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 모델을 적용한 Pandemic 시대 홈트레이닝
- 핀란드의 삶의 질 수준과 행복의 의미
-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을 위한 여가산업 분야 정책 제안
-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스트레스전략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