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이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6
- 영문명
- The Effects of Sports Entertainment Programs on Behavioral Intention to Participated in Sports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사혜지 한지훈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1권 제2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이 스포츠 참여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총 271개의 설문자료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를 위해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는 스포츠 참여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스포츠 참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증가하는 스포츠예능이 스포츠 참여에 있어 다양한 접근과 촉진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 스포츠 참여 행동의도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확인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orts entertainment program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us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A total of 271 questionnaire data were used for research analysis, and SPSS and AMOS programs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To analyze the results,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ttitudes toward sports entertainment progra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sports. Second, subjective norms for sports entertainment program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 inten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crease in sports entertainment affects various approaches and promotion of sports participation and whether it has a real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행동이론의 확장
-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이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중국 태권도 생활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의 전략적 발전방안
- 중국 국가대표 우슈 투로(套路)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심리적, 사회·환경적 영향요인 탐색 연구
-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여가교육정책에 관한 소고
- 한국무용 브랜드자산이 관계지속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생존(안전)수영 교육현황에 관한 탐색연구
- 학교 체육에서 가상 현실 적용
- 대학교양체육 교수자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좋은 수행을 위한 심리·인지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 모델을 적용한 Pandemic 시대 홈트레이닝
- 핀란드의 삶의 질 수준과 행복의 의미
-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을 위한 여가산업 분야 정책 제안
-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스트레스전략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