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술수용 모델을 적용한 Pandemic 시대 홈트레이닝
이용수 51
- 영문명
- Home Training in the Pandemic Era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of Smart Devices on Acceptance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이경중 이민석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1권 제2호, 163~1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시대에 홈트레이닝에 활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지각된 가치가 기술수용의도에 어떠한 인과관계를 나타내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하여 비확률 표본 추출법 중 유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팬데믹 시대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홈트레이닝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330부의 설문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12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통해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디바이스의 지각된 가치는 지각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 디바이스의 지각된 가치는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통계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 디바이스의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 디바이스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수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시대의 홈트레이닝 참여자에게 지각되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홈트레이닝의 가치와 기술 수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의사결정에 대하여 알아볼 수 있었으며, 여가문화의 변화로 나타난 여가와 안전, 언택트 여가, 사회적 거리두기가 가능한 여가의 가치를 탐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value of smart devices used in home training in the pandemic era and the intention to accept technolog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ignificant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o set the population of people participating in home training using smart devices in the pandemic era, and 312 data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analysis,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valu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ease of use. Thir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ease of 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Fourth,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value of smart devices and home training perceived by home training participants in the pandemic era due to Covid-19, and the value of leisure, safety, untact leisure, and social distanc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Ⅵ.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행동이론의 확장
-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이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중국 태권도 생활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의 전략적 발전방안
- 중국 국가대표 우슈 투로(套路)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심리적, 사회·환경적 영향요인 탐색 연구
-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여가교육정책에 관한 소고
- 한국무용 브랜드자산이 관계지속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생존(안전)수영 교육현황에 관한 탐색연구
- 학교 체육에서 가상 현실 적용
- 대학교양체육 교수자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좋은 수행을 위한 심리·인지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 모델을 적용한 Pandemic 시대 홈트레이닝
- 핀란드의 삶의 질 수준과 행복의 의미
-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을 위한 여가산업 분야 정책 제안
-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스트레스전략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