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nfluences of Elementary-school Teachers’ Teaching Careers on Their Desires for Promotion in South Korea
이용수 110
- 영문명
-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 배경이 승진욕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변영임 이수정 강재원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3호, 113~13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승진욕구가 교사의 개인 및 교직 배경 별로 어떤 차이가 있고, 특히 교직 배경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312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교사의 승진욕구에 대한 그들의 개인적 배경 및 교직 경력 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할 수 있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승진욕구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높고, 연령이 낮을수록 승진욕구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 등, 성과 연령과 같은 개인 배경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승진점수에 포함되는 부장교사 경력, 가산점 소재지 근무경력, 학력별로 승진욕구의 차이가 있으며, 특히 부장교사경력, 학력, 가산점소재지 근무경력, 성별, 연령 순으로 승진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승진욕구가 그들의 교직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직 경험과 관련된 여러 요인들이 승진욕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나아가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승진욕구와 관련되어 있는 여러 교직 관련 변인들과 교원승진제도와의 관련성에 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and to what ext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areers, such as length of service, experience as head teacher, and school location affected, their desire for promotion.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3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school size in Gyeonggi-do. To analyze the aff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areers on their desires for promotion, multiple regression was applied.
Analysis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men had a greater desire for promotion than women, and the lower in the teacher’s age, the lower their desire for promotion.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sire for promotion was considerably affected by their teaching careers, such as length of service, experience as head teacher, and school location.
These findings reflect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sire for promotion would be either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ir teaching careers, such as length of service, experience as head teacher, and school location. This study, accordingly, implies the necessity for examining how the variabl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sire for promotion is related to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Findings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fluences of Elementary-school Teachers’ Teaching Careers on Their Desires for Promotion in South Korea
- Characteristics of First-generation Immigrant Mothers' Social Capital in Terms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A Qualitative Study in the South Korean Context
- Does School Choice Increase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US District-Level Analysis
- A Simulation Study on Cross-classified Multiple Membership Random Effects Modeling Estimation
- The Effects of Role Ambiguity, Group Cohesion, and Social Presence on Elementary Students’ Attitudes toward Cooperative Learning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인권센터 조사과정에서피조사자의 절차적 권리에 대한 검토: 헌법상 적법절차원칙을 중심으로
- 특별자치도의 교육분야 특례 제도 분석
- 늘봄학교 법제화를 위한 법안 비교 분석 - 초등돌봄 정책 관련 법제화 동향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