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중 다항 관형어의 내부 구조 탐색

이용수 58

영문명
Explor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Multiple Attributes in Korean and Chinese -from a contrasting linguistic perspective-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저자명
계문함
간행물 정보
『우리말연구』제73집, 65~9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서로 다른 기본 어순 유형을 가지는 한국어와 중국어가 관형어 어순은 일치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중 다항 관형어의 내부 성분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품사별로 한국어와 중국에 나타날 수 있는 수식어 유형을 분류하고, 관형어 표지, 구체적인 배열 순서 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언어에서 수식어 유형의 성격은 유사하지만 구체적인 분류 기준이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한국어는 수식어 유형을 ‘관형사’, ‘체언’, ‘용언’, ‘구, 절’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달리 중국어의 수식어 유형은 ‘명사성(名詞性) 성분’, ‘동사성(動詞性) 성분’, ‘형용사성(形容詞性) 성분’, ‘기타’로 구분되며 ‘단어(短語)’라는 개념을 더해 한국어의 구에 해당하는 부류를 보다 세부적으로 나누어 구분하는 특징이 있다. 둘째,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형어 표지는 그 쓰임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 한국어의 관형어 표지는 시제와 같은 문법적인 기능을 담당하지만, 중국어의 관형어 표지는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연결 역할만을 담당한다. 또한 중국어의 관형어 표지는 ‘的’ 외에도 ‘一’, ‘這/那’, ‘他/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끝으로 수식어 결합에 따른 한국어와 중국어의 다항 관형어의 배열 순서에서 드러나는 차이점을 포착하였다. 여러 예시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형어에 존재하는 유동 성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한국어는 ‘N의’, ‘동사형 관형어’, ‘지시관형사’, ‘수관형사’가, 중국어는 ‘시간/처소 명사’, ‘지시대사’, ‘수량구’의 배열이 유동적이었다.

영문 초록

In terms of linguistic typology, the basic order of Korean and Chinese is different so the structure of the definite article should be different, yet both languages place the modifier in front of the modified article. This paper begin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with multiple determiners based on this peculiar phenomenon. For the structure of multiple modifiers modifying the modified word, this paper unifies them into a modifying constituent called the modifier, a modified constituent called the modified, and an intermediate connecting constituent called the definite marker. These three parts, as internal constituents of multiple determiners, are the focus of this paper. The paper first classifies the types of modifiers in the two countries from a lexical perspective, and finds that Korean and Chinese modifiers are mostly the same in nature, but differ in the specific range of categories into which they are divided. Korean has a separate category for coronal words and a separate category for phrases. In contrast, the types in Korean Chinese are more complex, with many sub-categori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phrase. We then compare the use of definite markers in both countries by giving examples and analyzing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m. In addition to the well-known ‘of' marker, there are a number of alternative definite markers such as ‘a', ‘this/that', and so on. Finally, the order of multiple determiners in Korean and Chinese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mbining types of modifiers from simple to complex. Various examples are given and translated into their foreign counterparts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y appear,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which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gree and which do not in terms of the order of multiple determiners. The Korean language is relatively liberal in its ordering, with ‘noun of belonging', ‘verbal corpus', ‘indicative corpus', ‘numeral corpus' ‘time/place nouns', ‘indicative pronouns', ‘quantifiers' are all moveable components, and in Chinese ‘time/place nouns', ‘indicative pronouns', ‘quantifiers' are moveable components when these When these types are present, the order of multiple determiners in the two languages will differ and learners should be aware of this when using them. This is intended as a base material to help foreign language learners of both languag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3. 한·중 다항 관형어 내부 구성의 대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계문함. (2023).한·중 다항 관형어의 내부 구조 탐색. 우리말연구, (), 65-98

MLA

계문함. "한·중 다항 관형어의 내부 구조 탐색." 우리말연구, (2023): 65-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