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 자전류의 한자음 덧생김 요인 분석

이용수 9

영문명
Analysis of Sino-Korean Character Addition Factors in the Modern Sino-Korean Dictionaries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저자명
최미현
간행물 정보
『우리말연구』제73집, 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전류의 한자음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면, 근대의 󰡔전운옥편󰡕에 수록된 한자들이 현대에까지 이르는 동안 한자음이 사라지기도 하고 달라지기도 하며 새로운 한자음이 덧생기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현대 자전류에서 한자음이 새로이 덧생긴 예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한자음의 덧생김 양상과 그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연구의 초점을 둔다. 한자음이 덧생기는 요인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현대 자전류 중에 반절자를 병기하고 있는 두 자전을 기준으로 삼고, 공통적으로 한자음의 덧생김 양상을 보이는 88개의 용례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을 살펴본 결과, 현대 자전류에서 한자음이 덧생긴 요인들이 몇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졌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운서의 반절자(半切字)의 음을 현대의 자전에 반영하여 한자음이 덧생긴 유형이다. 둘째, 현대 이전 시기의 문헌 자료 속에 나타난 한자음을 반영하여 한자음이 덧생긴 유형이다. 셋째, 󰡔전운옥편󰡕의 자석(字釋) 속 동통음(同通音)을 반영하여 한자음이 덧생긴 유형이다. 넷째는 기타 요인으로, 해성자나 정속음의 영향에 기인하여 현대 자전류에 한자음이 덧생긴 유형이다.

영문 초록

Looking diachronically at the Sino-Korean characters of the Sino-Korean dictionaries, while the Chinese characters recorded in the modern 󰡔Jeonunokpyeon󰡕 reach the modern times, Sino-Korean characters happen to disappear, change, and sometimes appear. In this article, we focus on examples of newly added Sino-Korean characters in the modern Sino-Korean dictionaries, and attempt to analyze the addition aspects of Sino-Korean characters and their factors. To more accurately analyze the factors by which Sino-Korean characters are added, among modern Sino-Korean dictionaries, two Sino-Korean dictionaries that write fanqies are taken as a standard, and in common, 88 examples showing the addition aspect of Sino-Korean characters were studi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m, the factors that added Sino-Korean characters in modern Sino-Korean dictionaries we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as follows. First, it is an added type of Sino-Korean character by reflecting the sound of fanqie(半切字) in Chinese phonemes to modern Sino-Korean dictionaries. Second, the Sino-Korean character is an added type by reflecting the Sino-Korean character that appeared in the literature data before the modern period. Third, it is an added type of Sino-Korean character by reflecting the common sound(同通音) in the characters(字釋) of 󰡔Jeonunokpyeon󰡕. Fourth, other factors are the type in which Sino-Korean characters are add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Xiesheng series or Zheng-Suyin.

목차

1. 들어가기
2. 한자음의 덧생김 양상
3. 한자음의 덧생김 요인
3.1. 운서의 반절 반영
3.3. 자석의 동통음 반영
3.4. 기타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현. (2023).현대 자전류의 한자음 덧생김 요인 분석. 우리말연구, (), 5-32

MLA

최미현. "현대 자전류의 한자음 덧생김 요인 분석." 우리말연구, (2023): 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