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부부처 (학)부모교육 자료 현황 및 내용 분석: 교육부와 여성가족부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161
- 영문명
-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Parents and School Parents Education Materials in Government Departments: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Material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김은영 권순범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10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와 여성가족부가 개발한 (학)부모교육 자료의 현황 및 내용 분석을 통해 향후 정부 주도의 (학)부모교육 자료의 개발·보급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개발하는 데 있다. 2010년 이후 두 부처가 개발한 (학)부모교육 자료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교육부 자료 359종, 여성가족부 자료 163종을 수집하여 (학)부모교육 자료의 개발 시기, 교육내용, 교육대상, 자료보급형태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부처 모두 최근으로 올수록 (학)부모교육 자료를 많이 개발하였으며, 이는 관련 부처로서 (학)부모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두 부처가 개발한 (학)부모교육 자료는 교육내용, 교육대상, 자료 개발 및 보급 주체, 자료형태, 접근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두 부처의 조직 체계, 교육과 보육 및 여성정책이라는
업무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학)부모교육 자료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과정에서 두 부처가 범정부 차원의 협력과 연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parents and school parents education materials led by government. After collecting the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by the two ministries since 2010, 359 kinds of material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163 kinds of materials from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ere analyzed. As a result, both ministries developed more materials on parents and school parents education as they come recently, which can be evaluated a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arents and school parents education as related ministries. The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by the two ministries differed in education contents and targets, subjects of materia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material types, and accessibility levels, and this is interprete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unique work of the two ministr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raw that development of parents and school parents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and in the process, the two ministries need cooperation and linkage at government level.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