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실무자의 운영 경험

이용수 277

영문명
Experience of Practitioner on Lifelong Learning City Business Manage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저자명
강주희 정연수
간행물 정보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제9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실무자의 운영 경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2020년이후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운영에 참여한 실무자들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에서 진행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사업에 선정된 지방자치단체 중 5개 도시의 운영 실무자 5인을 대상으로 해당 사업 종료 후 2022년 2월부터 3월까지 심층 면담(in-depth interview)을 활용한 질적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갖는 의미로 장애인 당사자가 교육의 주체로서 새로운 경험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고, 실무자는 장애인을 직접 만나며 장애 친화적 관점이 생겨나는 등 인식이 변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업 운영의 어려움으로 장애인 당사자가 평생교육을 교육이 아닌 복지의 개념으로 대하는 것에서 오는 어려움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에 대한 이해 부족, 실무자의 전문 역량 부족, 지원체계의 미비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업의 활성화 방안으로 다양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며, 공공영역에서의 체계적사업 운영 지원과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기관 및 전문가와 함께하는 사업, 관계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역량강화와 협력적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언: 최근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양적 증가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며, 장애인들의 평생교육 접근 기회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반면 아직까지 장애인 평생학습 운영을 위한 기반조성과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에 대한 관계자들의 인식 부족은 학습자 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본 사업의 정착을 위해 기반조성의 체계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s of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2020 to 2021 to find out about the operating experience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between 2020 and 2021,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5 operational practitioners from 5 cities among local governments selected for the lifelong learning city operation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First, the significance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enhance new experiences and learning effects a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that the perception has changed, such as mee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person and creating a disability-friendly perspective. Second, difficulties in running the project were the difficulty of treating lifelong education as a concept of welfare rather than education,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the lack of professional competence of the person in charge, and the lack of concreteness of the projec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are needed as a plan to vitalize the project, 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project operation with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experts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e strengthening of the capac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of the persons involved, and the cooperative network are necessary. In conclusion, in the reality where the lifelong learning city operation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expanding, it was found that it is urgent to create a foundation for smooth business ope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perator's understanding and capacity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to expand operating instit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주희,정연수. (2023).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실무자의 운영 경험.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9 (1), 1-26

MLA

강주희,정연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실무자의 운영 경험."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9.1(2023):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