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우스댄스의 국내 유입 및 발전 연구
이용수 39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Domestic Inflow and Development of House Dance
- 발행기관
- 한국실용무용학회
- 저자명
- 김욱동 김수진 김상준 김이재
- 간행물 정보
- 『한국실용무용학회지』제1권 제1호, 66~73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하우스댄스의 유입과 발전에 대해 그 과정 전반을 밝혀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하우스댄스 문화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Giorgi의 분석방법과 현상학적 접근법을 활용하였고,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와 함께 국내 하우스댄스 문화권에서 오랜 기간 활동한 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면담와 비구조화면담를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하우스댄스의 직접적 유입은 1990년대 후반 일본 하우스댄스 댄서의 방한과 2000년대 초 미국 하우스댄스 댄서들의 방한으로 춤과 문화가 직접적으로 전수됨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하우스댄스의 간접적 유입은 1990년대 후반 일본 하우스댄스 행사 영상이 비디오테이프의 형태로 전파됨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하우스댄스의 발전은 제도권 교육으로의 편입, 하우스댄스 비전공자의 유입, 인터넷의 발달과 온라인 매체의 활용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과정 속에서 문화전파, 프로슈머 등의 현상이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국내 하우스댄스의 유입과 발전과정을 객관적으로 조명하고, 문화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선진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process of the inflow and development of house dance in Korea and to present ways to develop house dance culture in the future. To this end, Giorgi's analysis method and phenomenology approach were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mixed for three people who have been active for a long time in Korean house dance culture along wit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inflow of domestic house dance was directly transferred by Japanese house dance dancers in the late 1990s and American house dance dancers in the early 2000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inflow of domestic house dance was due to the spread of videos of Japanese house dance events in the late 1990s in the form of videotapes. Third, the development of domestic house dance appears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integration into institutional education, the influx of house dance non-specialis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use of online media.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phenomena such as cultural propagation and prosumer occurred. This study can objectively shed light on the inflow and development process of domestic house dance and be used as developmental data to secure its cultural self-sustaining pow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지역 기반 콘텐츠 개발전략 연구 : 숏폼 애니메이션 <단양, The Joyful Kingdom of Monsters> 사례를 중심으로
- 시대에 따른 스트릿댄스의 개념과 범주 변화
- 늘봄학교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변증법적행동치료 기술을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자극 음악을 활용한 춤 동작 활동이 1인 가구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 무용동작치료가 윌리암스 증후군 아동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