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스트릿댄스 관련 트렌드 빅데이터 분석: 언론보도 및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1990년 – 2022년)

이용수 111

영문명
Big Data Analysis of Domestic Street Dance Trends: Focusing on News Reporting and Research Trends (1990 – 2022)
발행기관
한국실용무용학회
저자명
최종환
간행물 정보
『한국실용무용학회지』제1권 제1호, 3~2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무용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국내 스트릿댄스 언론보도 및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트릿댄스 연구 동향 분석, 스트릿댄스 시대별 키워드 분석, 스트릿댄스 유형별 키워드 분석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198개의 논문자료와 18,710개의 뉴스 기사를 수집하였고, 파이썬과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도출된 스트릿댄스 연구 동향은 스트릿댄스 교육과 사회적 인식에 관한 부분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스트릿댄스의 언론보도 동향을 시대별로 살펴본 결과 1990년대 댄스 가수와 행사 활동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뤘으며, 2000년대에는 지역 행사와 대회 중심으로 보도가 이뤄졌다. 2010년대에 들어서며 국제적인 인지도가 상승하였고, 2020년대에는 스트릿댄서들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종합할 수 있었다. 스트릿댄스 유형별로는 미디어의 노출 빈도가 높을수록 해당 키워드를 대표하는 인물로 대중들에게 인식되며, 케이팝 가수들의 스트릿댄스 안무 동작 사용으로 인해 대중문화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또한, 청소년 문화와 연관하여 발전하였으며, 스트릿댄스 유형 중 비보잉이 가장 높은 빈도로 다른 유형에 영향력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트릿댄스 연구에 필요한 정량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1990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스트릿댄스 33년사를 시각화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가진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big data analysis using text mining was conducted, focusing on domestic street dance media reports and research trends. In this study, analysis of domestic street dance research trends, keyword analysis by street dance era, and keyword analysis by street dance type were set as research questions. 198 thesis data and 18,710 news articles were collected for big data analysis, and data preprocessing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Python and BigKinds. The trend of street dance research derived from the analyzed results was centered on street dance education and social percep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 coverage trend of street dance by era, the content of dance singers and event activities in the 1990s was mainly focused on local events and competitions in the 2000s. In the 2010s, international recognition increased, and in the 2020s, street dancers became popular. By type of street dance, the higher the frequency of media exposure, the more recognized by the public as a representative of the keyword, and it is closely correlated with popular culture due to the use of street dance choreography by K-pop singers. In addition, it was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youth culture, and it was confirmed that B-boying had the highest frequency among street dance types and influenced other types.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quantitative basic data necessary for street dance research and visualized the 33-year history of Korean street dance from 1990 to 2022 through big data analysis using text mi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종환. (2023).국내 스트릿댄스 관련 트렌드 빅데이터 분석: 언론보도 및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1990년 – 2022년). 한국실용무용학회지, 1 (1), 3-20

MLA

최종환. "국내 스트릿댄스 관련 트렌드 빅데이터 분석: 언론보도 및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1990년 – 2022년)." 한국실용무용학회지, 1.1(2023): 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