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종음악경연대회 피아노 부문 지정곡의 창작 기법을 응용한 전래동요 및 민요 반주법 모색
이용수 50
- 영문명
- Exploring T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Accompaniments Using Creative Techniques of Designated Piano Works of the Sejong Music Competition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차선희 유승지
- 간행물 정보
- 『영유아음악교육연구』제1권 제2호, 73~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종음악경연대회의 피아노 부문 지정곡 중 전통 음계의 구성음을 기초로 반주가 창작된 5곡을 분석한 후, 그 작품들에서 사용된 특징적 반주법을 응용하여 전래동요 및 민요의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쉬운 피아노 반주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5곡의 분석 결과 작곡가들은 전통 화성 체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3도 음정을 쌓아 올리는 형태의 반주를 지양하고, 4도 및 5도 음정 등을 사용하여 서양음악과 구별된 음색을 만들어 낸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장단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보여 주는 단순한 리듬, 셈여림, 아티큘레이션, 및 지시어 등을 사용하여 노래 고유의 느낌을 잘 살려낸 것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유선율 피아노 반주 유형 6가지, 무선율 피아노 반주 유형 2가지를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적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피아노 반주법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실제 영유아 음악교육 현장에서도 이러한 반주법이 잘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ive piano works in which the accompaniment was created based on the constituent notes of the traditional scale among the designated works of the Sejong Music Competition and to present an easy piano accompaniment method that can revive the atmosphere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ive piano works, it was found that the composers avoided stacking 3rd intervals used in the traditional harmony system and used 4th and 5th intervals to create tone colors distinct from Western music.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unique feel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song was well preserved by using simple rhythms, dynamics, articulations, and descriptive terms that can showca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ythm (Jang-da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six types of piano accompaniments that can be used for left-hand accompaniment and two types of piano accompaniments that can be used for both-handed accompaniment with varying levels of difficulty.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 piano accompaniment methods that can revive the Korean atmosphere will be provided, and that such methods will be well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세종음악경연대회 유·초등부 피아노 부문 지정곡에 사용된 반주 형태 분석 및 응용
Ⅳ. 교육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전래동요 및 민요 단계별 피아노 반주법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