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교사의 배경변인, 가창능력에 대한 인식과 노래지도 신념에 따른 노래지도 실제
이용수 90
- 영문명
- The Practices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Singing Based on Their Perception of Singing Ability and Teaching Beliefs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형신
- 간행물 정보
- 『영유아음악교육연구』제1권 제2호, 13~2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가창능력에 대한 인식, 노래지도 신념과 노래지도 실제가 어떠하며, 이들 간의 관련성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G도의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171명을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 관련 학습경험과 가창능력에 대한 인식 및 노래지도 신념, 노래지도 실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교사의 가창능력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노래지도 신념은 학력과 유아음악교육 관련 수강 과목 수, 자격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노래지도 실제의 경우 학력과 자격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 유치원교사의 노래지도 신념, 유아음악교육 관련 수강 과목 수, 가창능력에 대한 인식 순으로 그들의 노래지도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래지도를 위한 유치원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가창 활동을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inging ability, singing teaching beliefs and singing teach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171 teachers working at the public kindergarten in G province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collecting data on learning experience related to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erception of singing ability, teaching beliefs in singing, and practices in teaching sing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singing ability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while the teaching beliefs in sing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urses and qualification level related to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beliefs in singing, the number of class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inging ability were found to affect their practices in singing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discussed specific support measures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singing instruc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singing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