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atholic Education: Focusing on KCI Articles Published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용 최준규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72권, 2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 가톨릭 학교 교육 관련 연구물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특징을 파악하고 향후 가톨릭 학교 교육 연구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2000년~2022년 사이 국내 KCI 학술지에 게재된 ‘가톨릭 학교 교육’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방법을 활용하여 대상 논문 선정의 신뢰성과 타당성, 체계성을 확보하였으며, 논문의 초록과 제시어를 중심으로 최종 선정된 53편의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다음,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활용하여 선정된 선행연구들의 지식적 흐름과 독자성을 발견하였고 나아가 종합적 패턴과 방향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주요 키워드의 빈도분석, 키워드 간 연결 중심성, 텍스트 내 키워드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TF-IDF 지수, 문헌 내 토픽(Topic)들의 중요성과 의미를 추출하는 LDA 분석, 단어 빈도를 통한 단어 연관성을 나타내는 N-gram 네트워크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결론] 가톨릭 학교 교육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교육’이 출현 빈도와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은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고, 가톨릭, 종교, 학교, 대학, 과정, 교사, 공동체 같은 핵심 키워드들이 다음을 이었다. 또한 복음, 학생, 사명, 교육 문제 같은 키워드는 그 빈도수에 비해 높은 연결 중심성을 보였다. 그리고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들은 종교교육과 중등 및 대학교에 집중되어 있다는 특성이 밝혀졌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atholic school education-related studies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m, and to make suggestions for future Catholic school education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rticles related to 'Catholic school education' published in KCI journals between 2000~2022. Utilizing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the Text Mining method, with 53 articles sele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analysis systematically, frequency analysis of major keywords, centrality, TF-IDF index, LDA analysis, N-gram network analysis, and Word Clou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word ‘education’ appeared a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and highly centralized keyword, followed by keywords such as Catholicism, religion, school, university, course, teacher, and community. And through the topic modeling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previous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religious education,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목차
Ⅰ. 서 론
Ⅱ. 분석 도구
Ⅲ. 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