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이용수 147

영문명
Performance on the metaverse: Focusing on overseas performances in the 2020s
발행기관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저자명
주현식
간행물 정보
『연극예술치료연구』제17호, 28~55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연행 연구(performance studies)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를 검토하고, 이에 기반해 해외의 메타버스 공연 사례를 대상으로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조망해 보려 한다. 우선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메타버스 이용자, 메타버스 공간 및 시간을 연행 연구의 시각으로 접근한다.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상에서 펼쳐지는 해외 공연들의 퍼포먼스 미학을 규명한다. 대상은 영국 국립극단의 Draw Me Close: A Memoir(2020), 아바타 아티스트 아베던(LaTurbo Avedon)의 Your Progress Will Be Saved: Artist Tour with LaTurbo Avedon(2020), 그리고 한국에서도 초청되었던 독일 폴크스뷔네의 연출가 케네디(Susanne Kennedy)의 ULTRAWORLD(2021)다. 메타버스 기술이 현재 발전 과정 중에 있고, 메타버스 공연 또한 진화하고 있는 중이어서 본 논의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예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가 아닌 것도 아닌 나’로서의 아바타, 더 나아가 메타휴먼 혹은 디지털 트윈인 연기자의 등장에 의해 공연이 생산되고 수용되며 경험되는 양상이 변화된다. 비결정성과 이중성의 분열된 자아, 즉 인간-살과 비인간-기계가 혼합된 새로운 양상의 연기자를 통해 관객은 자신의 타자성(alterity)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아바타의 가상적 몸이 이용자의 실제적 몸과 상호행위함에 따라 아바타의 몸-이미지는 본질적으로 이용자의 실제적 몸과의 관계성 속에 놓이게 된다. 아바타의 가상적 몸은 완벽히 디지털화된 탈체현의 몸이라고 볼 수 없다. 그보다 컴퓨터 스크린과 이용자의 실제적 몸 사이의 중재자가 된다. 이용자와 아바타의 상호행위의 순간 실제 나의 몸에 의해 횡단되는 아바타의 몸은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에 의해 변형의 사건이 발발하는 데에 중요 요소로 기능한다. 셋째, 메타버스 상의 퍼포먼스 공간은 ‘헤테로토피아’적 성격을 함축하고 있다. 현실에 있지만 현실에는 없는 공간을 생산한다. 세계 안의 세계이지만, 장소 없는 장소이고, 세계 밖 세계이기도 하다. 그 공간은 환각적이고, 모호하며, 순간적이고, 개인적, 맥락의존적이다. 넷째, 메타버스의 퍼포먼스는 현존이 아닌 부재의 시간을 부른다. 메타버스 공연은 현존의 공연이 아니라 부재의 공연을 형상화한다. 부재는 공허함, 결여가 아니라 정서적 공명이고, 확장이며, 현존에 대한 기대감을 낳는다. 20세기 아방가르드 퍼포먼스의 미학이 현존의 미학에 기초하였다면 21세기 메타버스 퍼포먼스의 미학은 부재의 미학에 기반할 것이다. 메타버스에서의 공연과 관련해 팬데믹 위기로 촉발된 일시적 관심을 넘어서 장기적인 안목에서 공연미학을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의 논의는 그 시발점으로서 유의미성을 가지리라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taverse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formance studies and, based on this, tries to look at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the metaverse by targeting overseas metaverse performances. First of all, in the first part of the main body, metaverse users, metaverse space, and time ar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research.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overseas performances on the metaverse based on this. The British National Theater Company's Draw Me Close: A Memoir (2020), Avatar Artist LaTurbo Avedon's Your Progress Will Be Saved: Artist Tour with LaTurbo Avedon (2020), and ULTRAWORLD (2021) by Susanne Kennedy, were considered. The metaverse technology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e metaverse performance is also evolving, so this discussion has an essay on metavers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aesthetics in the metaverse are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of an avatar as 'I am not me' and an actor who is a metahuman or digital twin, changes the way we do, see, and experience performance. The fragmented self of indeterminacy and duality, that is, a new aspect of an actor in which human-flesh and non-human-machine are mixed produces an experience in which the audience can confirm their alterity. Second, the avatar's virtual body interacts with the user's real body. The avatar's body-image is essentially placed in a relationship with the user's actual body. The avatar's virtual body cannot be regarded as a fully digitized, de-embodied body. Rather, it become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computer screen and the actual body of the user. The moment of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body of the avatar, which is traversed by my body,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occurrence of transformational events through the performance in the metaverse. Third, the performance space on the metaverse implies a ‘heterotopia’ character. It produces a space that exists in reality but does not exist in reality. It is a world within the world, but it is a place without a place, and it is also a world outside the world. The space is psychedelic, ambiguous, instantaneous, personal, and context-dependent. Fourth, the performance of the metaverse calls for a time of absence rather than presence. The metaverse performance embodies the absence of a performance, not a presence. Absence is not an emptiness or lack, but an emotional resonance, an extension, and an expectation of presence. If the aesthetics of avant-garde performance in the 20th century was based on the aesthetics of presence, the aesthetics of metaverse performance in the 21st century would be based on the aesthetics of absenc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performance aesthetic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eyond the temporary interest sparked by the pandemic crisis concerning the performance on the metaverse.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have significance as a starting point.

목차

Ⅰ. 서론
Ⅱ. 연행 연구의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
Ⅲ. 해외 공연 사례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현식. (2022).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연극예술치료연구, (), 28-55

MLA

주현식.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연극예술치료연구, (2022): 28-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