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 古代 水利灌漑堤堰의 灌漑 效率性과 築造 意義

이용수 177

영문명
Construction Significance and Irrigation Efficiency of the Ancient Water Irrigation Dams of Kore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성정용 성현화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5집, 915~93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古代 수리관개시설은 당시 인구증가를 뒷받침하는 생산력 증대를 위한 가장 핵심적인 시설로서, 토지이용전략의 극대화를 위한 변곡점이자 고대 사회를 지탱하기 위한 기초적 토대를 제공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크게 보를 만들어 관개하는 分水灌漑類型, 산간의 계곡 상류를 막아 하류의 넓은 지역을 관개하는 築堤貯水灌漑類型(山谷型 저수지), 海水나 河水의 범람으로부터 농경지를 보호하기 위해 축조된 제언(築堤保田類型) 등이 있다. 필자는 우리나라 여건에 맞게 최적화된 수리시설이라는 의미에서 후자의 두 시설을 통칭하여 ‘韓國型 水利灌漑體系’로 범주화하고 있다. 한편 제언을 통해 저수되는 면적보다 관개할 수 있는 면적이 클수록 토지 이용의 효율성이 높을 것이며, 제언의 축조 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주요 고대 제언의 灌漑 效率性(관개 가능 면적/저수 면적), 즉 관개 능력을 수치화해보았다. 현시점에서 최대 관개 효율성을 검토해본 결과 산간에 위치한 제천 의림지가 39.60으로 가장 높고, 김제 벽골제가 1.20으로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두 유형의 수리시설이 갖고 있는 의의를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었다. 통념적으로 넓은 평야가 있는 호남지역의 농업생산력이 다른 곳을 압도할 것 같은데, 통계청 자료에서는 의외로 영남지역의 생산량이 호남보다 훨씬 많다. 이는 고대 제언의 관개 효율성과도 결코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되는바, 소위 ‘한국형 수리관개체계’의 토목사적 의미뿐만 아니라 고대 사회 저변에 미쳤던 영향의 재평가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Although it is difficult to summarize the significance of the hydro-irrigation facilities of Korea in one word, it is clear that they worked as a facility maximizing the productivity of agriculture, especially water production. In particular, it can be inferred from fragmentary records that significant population growth occurred in the ancient period. However, it is during the ancient period that huge embankments (such as those that formed the valley-type reservoirs that can commonly be seen around us) made an appearance, likely intertwined with social changes such as population growth and numerous wars in ancient society. In the end,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ancient embankments provided the most basic foundations supporting ancient society, their appearance acting as an inflection point for maximizing land use strategies. An examination of the ancient embankments identified thus far in Korea reveals that not only are there so-called ‘valley-type reservoirs’ that were used to irrigate a large area downstream by blocking the upper reaches of narrow valleys in the mountains, there were also dams located in the middle of wide fields, close to the coast, as in the case of Byeokgolje, in Gimjae. There are some that appear to have been built to irrigate the swampy areas below. However, the irrigation efficiency(maximum irrigated area/reservoir area) of major ancient embankments wa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larger the area that can be irrigated compared to the area that can be stored, the higher the efficiency of land use, thereby reflecting the intention of constructing such embankments. The irrigation efficiency of Uirimji (in Jecheon), located in the mountains, was the highest at 39.6; Byeokgolje (in Gimje) was the lowest at 1.20. It is conventionally thought that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the Honam region, which is spread over a wide expanse of lowland, overwhelms the other regions. According to the modern agricultural production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roduction at Gyeongsangnam-do Province, in fact, overwhelms that of Jeollanam-do Province. It is thought that this is not irrelevant to the irrigation efficiency of the ancient embankments, and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not only the civi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o-called ‘Korean-style hydro irrigation system’ but also the impact it had on the foundations of ancient society.

목차

Ⅰ. 머리말
Ⅱ. 古代 水利灌漑堤堰의 現況과 類型
Ⅲ. 古代 堤堰의 灌漑 效率性 分析
Ⅳ. 古代 水稻作과 灌漑 堤堰의 意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정용,성현화. (2022).韓國 古代 水利灌漑堤堰의 灌漑 效率性과 築造 意義. 한국고고학보, (), 915-939

MLA

성정용,성현화. "韓國 古代 水利灌漑堤堰의 灌漑 效率性과 築造 意義." 한국고고학보, (2022): 915-9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