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하학적 형태측정법을 이용한 영산강 마한 일상토기 생산체계에 대한 예비적 고찰: 심발을 중심으로

이용수 212

영문명
A Preliminary Study on the Daily Earthenware Production System in Mahan, Yeongsan River Region, Using Geometric Morphometric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허진아 채수빈 유영석 송원근 박형후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5집, 827~85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원삼국시대 ‘취락 내 자급적 토기 생산론’을 보완하고 영산강 마한의 일상토기 생산체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있다. 다수의 공동체 혹은 정치체들이 공존하였던 마한사회의 특징을 고려하여 일상토기 대표 기종인 심발을 대상으로 생산조직과 전문화 수준을 파악하였다. 가구경제와 생산전문화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여 잠정가설을 수립한 후, 지역단위와 취락단위에서 각각 표준화 분석을 실시해 이를 검증하였다. 표준화 판정의 객관성과 분석과정에서의 정확성·정밀성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보고서 실측도면에 대한 기하학적 형태측정법(Geometric Morphometrics, GM)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원삼국-삼국시대 영산강 마한 사회에서 심발이 지역 내 몇몇 취락의 특정 가구 및 공방에서 전문적으로 생산된 후 공동체 내에서 공유되는 즉 ‘제품 전문화’가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또한 B형식 심발이 선행하는 A형식 심발보다 지역단위에서 뚜렷하게 구분되는 양상을 보여 주고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일상토기의 표준화 수준이 높아졌음을 뒷받침한다. 한편, 광주처럼 원삼국시대부터 도시성이 발달한 지역일 경우, 전문화와 교환 네트워크가 발달하여 교류가 잦은 취락 간에 제작기술의 전파·확산 혹은 제품의 교환·유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4세기 이전부터 성행한 A형식 심발의 형태에서 취락 간 유사성이 확인되는 점으로 미루어 보건대, 광주지역은 원삼국시대부터 ‘생산자 전문화’ 단계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pplement the ‘self-sufficient earthenware production theory’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daily earthenware production system in Mahan, Yeongsan River reg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han society, in which a large number of communities or polities co-existed, the production organization and level of specialization were identified for simbal(‘deep bowl’) ware, a representative daily earthenware. First, the discussion on household economy and production specialization was reviewed, and provisional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is, and then verified through standardization analysis at local and settlement levels, respectively. In order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standardization analysis as much as possible, scientific analysis methods such as Geometric Morphometrics(GM) was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in the Mahan society of the Yeongsan River region in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simbal ware was professionally produced in specific households and workshops in several villages in the local area, and then shared within the community; that is, ‘product specialization’ was achieved. In addition, it could be observed that Type B simbal ware is more clearly differentiated at the local level than Type A simbal ware, which preceded it. On the other hand, in areas such as Gwangju where urbanism had been developing sinc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t appears that the spread and diffusion of manufacturing technology or the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products was actively carried out among the villages where exchanges were frequ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specialization and exchange networks. The fact that similarity between settlements can be confirmed for the forms of Type A simbal ware, which had been popular prior to the 4th century, indicates that the possibility that the Gwangju area had been a place of ‘production specialization’ sinc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should be considered.

목차

Ⅰ. 머리말
Ⅱ. 방법론 검토
Ⅲ. 가설 수립 및 검증
Ⅳ. 고찰: 영산강 마한사회의 일상토기 생산조직과 전문화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진아,채수빈,유영석,송원근,박형후. (2022).기하학적 형태측정법을 이용한 영산강 마한 일상토기 생산체계에 대한 예비적 고찰: 심발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 827-858

MLA

허진아,채수빈,유영석,송원근,박형후. "기하학적 형태측정법을 이용한 영산강 마한 일상토기 생산체계에 대한 예비적 고찰: 심발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2022): 827-8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