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시각장애인의 신체이미지 및 의복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83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Body Image and Clothing Life of the Visually Impaired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양호정 이민선 박해림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38권 제4호, 179~20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신체이미지 및 의복생활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9명의 성인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이미지와 의복생활 경험에 대해 개별면담을 진행하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범주, 8개의 하위범주와 17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의존성 범주는 타인의 의견과 확인에 의존하는 신체이미지, 불안정성 범주는 확신 없이 흔들리는 신체이미지, 제한성 범주는 제한적으로 표현되는 신체이미지 하위범주로 구성되었다. 제한되고 좌절되는 의복관련 인식 범주는 정보부족과 실패로 좌절되는 욕구, 제한적으로 개념화된 의복의 목적. 도움과 경험 그리고 대안이 요구되는 의복생활 범주는 신뢰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의복 구매, 상황에 적응하며 마련된 의복생활의 대안 하위범주가 구성되었다. 결론: 시각장애인의 긍정적 신체이미지 형성을 위한 노력, 의복생활의 어려움으로 인해 제한된 시각장애인의 욕구충족 그리고 생애주기 별 보조기기 활용방안 마련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ody image and clothing life of the visual impaired adults. Method: 9 visual impaired adult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bout their body images and clothing life experiences. Results: Five categories, eight subcategories, and 17 concepts were derived. 1)Dependency Category: Body image that relies on other people's opinions and confirmations. 2)Instability Category: Unconfident and shaky body image. 3)Restriction category: Body image represented by restriction. 4)Restricted and frustrated awareness of clothing category: Lack of information and frustration with failure, Purpose of limited conceptual clothing. 5)Clothing life that require help, experience and alternatives Category: Buying clothing based on trust and experience, Alternatives to clothing life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body image of the visual impaired adults, the needs of the visual impaired adults, and the introduction of measures to utilize auxiliary devic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 학교를 졸업한 성인 저시력인의 심리적 성장 과정 탐색
- 시각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실천공동체 사례 탐색 및 국내 모델 개발
-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및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OECD 2030 역량 반영과 학습자 요인 분석
- 시각장애인의 생활안전의식, 가정 내 안전사고 경험 정도,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 시각장애 등의 특수교육공학 관련 도서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공학의 학술 동향 탐색
- 시각장애 분야 질적연구 동향분석
- 성인 시각장애인의 신체이미지 및 의복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 시각장애인 안마원의 공적 지원 서비스가 매출 및 고객 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