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심성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 쉴러의 관점

이용수 41

영문명
Moral Education as ‘Aesthetic Education’: An Interpretation on the View of F. Schiller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심장후(Jang-Hoo Sim)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4권 제4호, 213~23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이때까지 도덕교육이 어떤 일인가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습관의 형성’과 ‘도덕적 사고의 발달’이라는 두 가지 상이한 대답이 제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도덕교육에 관한 이러한 견해의 차이 기저에는 도덕교육을 통하여 실현하고자 하는 도덕적인 인간의 자질, 즉 도덕성에 관한 견해의 차이가 자리하고 있다. 이 점에서 도덕교육의 온전한 의미는 이러저러한 도덕교육을 통하여 추구되는 도덕성 그 자체가 어떤 것인가에 비추어 규명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피터즈(R. S. Peters)는 이른바 ‘도덕교육의 파라독스’ 문제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기존의 두 가지 도덕교육이 각각 도덕성의 두 측면을 강조하는 견해라는 점을 지적하지만, 온전한 도덕성 그 자체에 관한 해명에는 더 이상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쉴러(F. Schiller)는 「심성교육론」에서 온전한 인간성을 인간 본성의 근본적인 두 측면인 감각과 이성의 조화로 설명하면서, 그 실현 방안으로 ‘심성교육’(aesthetic education)을 제안한다. 쉴러의 논의는 감각과 이성이 조화를 이루는 마음의 상태, 즉 ‘심미적 상태’(aesthetic state)가 모든 도덕적인 것들의 기준이자 동시에 그 원천으로 작용하는 것이라는 점, 그리하여 ‘심미적 상태’를 실현하는 일로서의 ‘심성교육’이야말로 온전한 의미에서의 도덕교육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Since Plato and Aristotle, two different perspectives have been suggested regarding how human can be morally educated: formation of habit and development of moral thinking. The difference of view about moral education is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on how morality is defined. Hence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can be answered by explaining the morality itself which has been the aim of diverse types of mo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paradox of moral education’, R. S. Peters indicates that the two perspectives of view about morality which are the basis of two moral educations are two aspects of morality, but he does not focus attention on the matter of what the morality itself is. Investigating the matter of Ideal of humanity in Aesthetic Education, Schiller finds that the Ideal of humanity indicates a harmonious state of sense and reason that are considered as fundamental aspects of human nature. And he suggests ‘aesthetic education’ as a way of realizing the harmony. The discussion in his book shows that the harmonious mind as ‘aesthetic state’ is the criteria as well as the source of the morality. In this regard, ‘aesthetic education’ that realizes the ‘aesthetic state’ of mind can be considered a moral education proper.

목차

Ⅰ. 도덕성의 성격: 도덕교육의 파라독스
Ⅱ. 도덕성의 조화: 총체적 성품
Ⅲ. 도덕성의 실현: 심성교육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장후(Jang-Hoo Sim). (2022).‘심성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 쉴러의 관점. 도덕교육연구, 34 (4), 213-230

MLA

심장후(Jang-Hoo Sim). "‘심성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 쉴러의 관점." 도덕교육연구, 34.4(2022): 213-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