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2: 노인
이용수 14
- 영문명
-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Bipolar Disorder 2022: The Elderl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추일한 박원명 우영섭 정종현 윤보현 서정석 양찬모 김원 이정구 심세훈 정명훈 전덕인 박성용 손인기 김문두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61권 제4호, 261~26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fifth revision of the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Bipolar Disorder (KMAP-BP) was undertaken to provide more precise guidelines for clinician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reatment strategies recommended by the KMAP-BP 2022 for theelderly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Methods The review committee comprised eighty-seven psychiatrists with vast clinical experience in treating bipolar disorders, who completed a survey. An expert consensus was obtained on pharmacological treatment strategies for elderly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s. The executive committee analyzed the data and discussed the results to produce the final algorithm. Results In elderly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s, the first-line treatment option for manic episodes is monotherapy,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or mood stabilizers, and a combination of a mood stabilizer and atypical antipsychotics. The first-line treatment option for depressive episodes was a combination of a mood stabilizer and atypical antipsychotics, monotherapy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or a mood stabilizer or lamotrigine, and a combination of atypical antipsychotics or a mood stabilizer with lamotrigine. Conclusion In the KMAP-BP 2022, the recommendation for treatment options for elderly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has been newly introduced. We expect that this algorithm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treatment of elderly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목차
서론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2: 노인
-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칸나비디올(Cannabidiol) 오일의 체중 감량 효과에 대한 검증연구
- COVID-19 유행 상황에서 자살 시도의 세대별 비교
- 자가보고 설문 데이터 기반 정신건강 검진도구 개발 예비 연구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증상의 정도에 따른 인지기능 차이
- COVID-19 대유행 이후 청소년의 정신건강문제 변화양상 비교
- 항우울제로 새롭게 등장한 ‘남용 물질’: 약리학적 기전, 항우울 효과, 오남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 항우울제로 새롭게 등장한 ‘남용 물질’: 치료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은 무엇인가?
-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2: 안전성과 내약성을 고려한 치료전략
-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2: 동반 신체질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