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우울제로 새롭게 등장한 ‘남용 물질’: 치료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은 무엇인가?
이용수 21
- 영문명
- “Drugs of Abuse” as “New Antidepressants”: Medical and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in Treatment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박선영 안유석 강웅구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61권 제4호, 254~26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cently, drugs with a potential for abuse are regaining attention as antidepressants. These drugs are mood enhancers and reduce negative feelings. Therefore, they can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However, mood enhancement is insufficient for the real improvement of depressive symptoms. Additionally, treating depression using drugs with dependency risks raises concerns regarding autonomy issue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iscuss issues that a psychiatrist should consider when prescribing “drugs of abuse” as antidepressants from medical, philosophical, and legal perspectiv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psychiatric diagnosis system in depression, questions concerning pleasure-seeking with antidepressants, dilemmas with autonomy, and problems of enhancement are discussed.
목차
서론
남용 약물과 ‘우울증 치료’의 의미
남용 약물을 이용한 ‘쾌락 추구’의 문제
우울증 치료에서 ‘의지력’과 ‘자율성’의 문제
우울증 치료와 ‘증진(enhancement)’의 문제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2: 노인
-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칸나비디올(Cannabidiol) 오일의 체중 감량 효과에 대한 검증연구
- COVID-19 유행 상황에서 자살 시도의 세대별 비교
- 자가보고 설문 데이터 기반 정신건강 검진도구 개발 예비 연구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증상의 정도에 따른 인지기능 차이
- COVID-19 대유행 이후 청소년의 정신건강문제 변화양상 비교
- 항우울제로 새롭게 등장한 ‘남용 물질’: 약리학적 기전, 항우울 효과, 오남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 항우울제로 새롭게 등장한 ‘남용 물질’: 치료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은 무엇인가?
-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2: 안전성과 내약성을 고려한 치료전략
-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2: 동반 신체질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