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태고선(太古禪)의 특성과 현대적 의의

이용수 12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Taego-sŏn (太古禪) and the Meaning of Modernity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김영욱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10권 제1호, 197~270쪽, 전체 7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11,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태고선(太古禪)을 구성하는 두 가지 범주는 조사선(祖師禪)과 간화선(看話禪)이다. 이들 두 가지는 하나가 다른 하나를 규정하고 상호 제한하는 관계에 따라 불가분한 한 쌍으로 공존하고 있다. 특히 간화선은 조사선이라는 큰 틀에서 그 핵심적 방법을 특화시킨 결과물이다. 따라서 조사선의 요소를 드러내어 그 특징을 밝힌 다음 그것을 토대로 간화선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는지 조명하도록 설정한다. 태고의 간화선은 무자(無字)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조사선 유의 형식과 논법이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눈앞에 진실이 드러나는 조사선의 단적(端的) 경계는 화두 참구의 결과인 동시에 그것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화두가 타파된 이후라면 눈앞의 그 경계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으며, 무사(無事)․무심(無心)의 세계도 그것을 바탕으로 실현된다. 이렇게 전개되는 영역에 이르면 이들 두 선법이 자연스럽게 하나로 어울리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무자(無字)는 유․무 대립의 구도에 속하지 않고 그것을 초월하는 그 무엇도 아니다. 그것은 의문 자체이며 이에 대하여 어떤 해답을 내리기라도 하면 때려 부수는 무기일 뿐이다. 이처럼 무자뿐만 아니라, 모든 화두는 오로지 의문으로 남아서 그것에 달라붙는 갖가지 잡다한 분별에 가하는 철퇴일 뿐이다. 오로지 화두에 대한 의문만 남아 탐색할 길이 막막해지는 궁지(窮地)에서 타파의 소식이 온다. 단 한 번도 확정된 해답은 주어지지 않으며, 있는 듯하여도 그것은 위장에 불과하다. 그곳에는 의문이라는 복병이 항시 매복하면서 역공으로 뒤집을 준비를 하고 있다. 우리가 되살려낼 태고선의 현대적 의의도 어떤 문제와 만나면서 분명하게 박히는 확신에 대하여 그때마다 의문으로 뒤집는 그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오늘날 학자 개개인은 이 의문을 가지고 정화하는 비판의 도구로 전환함으로써 외부에서 강요되거나 스스로 부여하여 최면상태에 빠진 갖가지 편견과 권력의 뿌리를 흔들어 건전한 갈등 국면과 마주치게 이끌어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two categories that make up Taego-sŏn are the Josa-son (祖師 禪) and the Khanwha-son (看話禪). These two coexist in a pair that is indivisible by a relationship that defines and limits one another. In particular, it is the result of specialized methods in the large framework of Josa-son. Therefore, the element of the Khanwha-son is exposed from the Taego-sŏ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hanwha-son are identified, and then, based on that, the indicator is set to illuminate how the epigenome develops. Although Taego's Khanwha-son focuses on the Chozchu's mu (無), the type of the Josa-son and the argument are permeated throughout. The Josa-son, in which the truth is revealed before us, is the result of the whadu (話頭) study and is an area of freedom to express it. Once the issue is broken, the boundary in front of us can be used freely, and the world of Musa (無事) and Musim (無心) is realized based on it. When you reach this area, you can naturally see the two seams harmonize with one another. The Chozchu's mu is not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Yu-Mu (有-無) conflict and is nothing that transcends it. It's a question of its own and it's just a weapon that breaks down any answer. This whole topic of conversation, as well as the Chozchu's mu, is a withdrawal from all sorts of miscellaneous discretion that remains in question and adheres to it. The enlightenment of the breakaways comes at a time when there is no way to search for them, but only questions remain. Never a definite answer is given, and as far as it may be, it is a disguise. There, the ambush of the mysterious man is always in ambush and ready to flip over with a counterattack.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Taego-sŏn that we will revive can also be found in the way in which we question every problem and especially any confidence. Today, individual scholars turn this question into a tool of criticism that cleanses themselves, shaking the roots of various prejudices and power imposed by them from the outside, and leading them to face a healthy conflict.

목차

Ⅰ. 서론
Ⅱ. 태고의 선경(禪境)
Ⅲ. 태고 간화선(看話禪)의 요소
Ⅳ. 현대적 의의 - 태고 공부법의 시사점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욱. (2018).태고선(太古禪)의 특성과 현대적 의의. 불교와 사회, 10 (1), 197-270

MLA

김영욱. "태고선(太古禪)의 특성과 현대적 의의." 불교와 사회, 10.1(2018): 197-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