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중국어 ‘可’의 대조 의미에 관한 소고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contrast meaning of modern chinese 'ke’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김홍실(JINHONGSHI)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75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可’가 구체적인 담화맥락에서 ‘대조’ 의미를 보이는 현상을 발견하고 이에 대해 화용론적 관점에서 입각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1장은 서론부분으로 문제 제기와 함께 기존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可’가 발화에서 의미 지향하는 성분에 따라 ‘행위자’ 대조, ‘대상’ 대조, ‘시간’ 대조, ‘장소’ 대조, ‘동작이나 상태’ 대조 등 5가지 구문으로 분류를 진행하고 이들이 각각 구체적인 발화에서 어떻게 자매항들과 대조를 이루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또 대조항이 발화에 출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담화맥락 속에서 함축적인 자매항을 상정해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可’가 한국어의 ‘은/는’에 대응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한국어에서 ‘은/는’이 문맥에서 어떠한 성분들에 대해 대조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봄으로써 중국어 ‘可’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현대중국어에서 ‘可’가 어떻게 대조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기존의 통시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확장경로를 상정해보았다. 그 결과 ‘可’는 동사 ‘허락하다’라는 원형의미에서 통시적인 변화(문법화)와 공시적인 변화(의미 확장)를 통해 현대중국어에서는 대조의미를 포함한 여러 문법적 기능을 지닌 부사로 쓰이고 있음을 추정해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study that examines “ke”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Based on the meaning of “contrast” in the context of a specific discourse.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section, and we looked at the problem-raising and previous studies. In Chapter 2, based on the sentence components that ''ke' for the meaning of speech, there are five categories: “actor” contrast, “target” contrast, “time” contrast, “place” contrast, and “action or state” contrast. Next, how each of these contrasts with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specific discourse was examined. In particular, when the contrast item did not appear in the speech, the implicit contrast component could be estimated i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In Chapter 3, based on the phenomenon in which “ke” corresponds to “eun/neun” in Korean, we briefly examine what ingredients “eun/neun” has contrast meaning in the context. Through thi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ke” and Korean “eun/neun” were found. In Chapter 4, the expansion path was assumed based on existing synchronic studies on how “ke” came to have a contrast meaning in Modern Chines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ke” had contrast meaning in modern Chinese through diachronic and synchronic changes in the original meaning of a verb. 本文发现‘可’在具体的语境里具有对比功能,从语用层面的角度对‘可’进行了探讨和研究。本文的第一章由问题的提出和前人的研究部分所组成。在第二章里,首先根据‘可’在语境中的语义指向成分,把可字句的对比类型分为‘动作的主体’对比, ‘动作的客体’对比, ‘时间’对比, ‘处所’对比, ‘动作的行为或状态’对比等五个大类。然后,对每一个对比类型考察在具体的语境中与其对应的成分之间怎样形成对比关系。本文的第三章里注意到‘可’对应与韩语中的‘eun/neun’, 然后通过一些例句考察对韩语中‘eun/neun’具有的对比义, 结果发现‘可’与韩语中‘eun/neun’的共同点和不同点。第四章主要根据前人的历史研究, 对本文论述的‘可’对比义的来源进行了揣摩和推测,结果推理出‘可’从古代'许可'的动词用法经过历史演变和共时性的语义扩展,最后在现代汉语里副词‘可’具有了表对比的语法功能。

목차

Ⅰ. 서론
Ⅱ. ‘可’의 의미지향 및 대조 의미
Ⅲ. 대응되는 한국어 ‘은/는’의 대조 의미
Ⅳ. ‘可’의 대조 의미에 대한 유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홍실(JINHONGSHI). (2022).현대중국어 ‘可’의 대조 의미에 관한 소고. 중국학논총, (), 1-24

MLA

김홍실(JINHONGSHI). "현대중국어 ‘可’의 대조 의미에 관한 소고." 중국학논총, (2022):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