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해 도성 역심엽형연화문 수막새의 분류와 변천

이용수 268

영문명
Classification and Change of Roof-end Tiles with the Inverted Heart-Shaped Lotus Design at the Capital-Fortresses of Balha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최슬기(Choi, Seulgi)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4집, 691~71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발해 도성으로 비정되는 서고성(西古城), 상경성(上京城), 팔련성(八連城)에서 출토된 역심엽형연화문 수막새의 변천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발해 도성 역심엽형연화문 수막새는 연판, 간판, 중방의 형태에 따라 모두 35개 형식으로 분류된다. 분류한 형식을 도성별로 비교 정리하여 각 속성의 연대 폭을 검토하였고, 출토 위치가 분명하여 동시성이 인정될 수 있는 자료들을 함께 고려하여 각 형식의 시기별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역심엽형연화문 수막새의 변천을 3단계로 설정하였다. Ⅰ단계는 서고성이 현주 도성으로 운용되는 시기로 8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6가Ⅰ십자형C2a식과 6가Ⅰ 삭월혼합B3a식 수막새가 서고성을 중심으로 출현하여 사용되었다. 6가Ⅰ형 연판을 지닌 수막새들이 상경성과 팔련성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점으로 보아, Ⅰ단계에 이후 연판 형태의 변이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Ⅱ단계는 현주 도성에서 상경으로 천도한 8세기 중엽부터 2차 상경으로의 환도하는 8세기 후엽까지에해당한다. 연판의 형태는 가Ⅱ형 연판이 새롭게 출현하여 사용되나, 중방과 간판은 Ⅰ단계에 사용되던 것이그대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6가Ⅱ십자형C2a, 6가Ⅱ방추형B3a, 6가Ⅱ방추형B2식이 출현하여 유행되었다. Ⅱ단계로 추정된 6가Ⅱ방추형B3a식 수막새가 서고성, 상경성, 팔련성에서 공통으로 보이는 점을 근거로이 단계부터 도성을 상징하는 문양 형식이 갖춰진 것으로 생각된다. Ⅲ단계는 상경으로 다시 환도한 9세기 후엽부터 10세기 전엽까지에 해당한다. Ⅱ단계에 사용되던 연판, 간판, 중방이 그대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이와 함께 속성별 형식 분화가 활발히 발생하여 연판, 중방, 간판의 형태는 Ⅱ단계에 비해 더욱 다양하게 확인된다. Ⅲ단계에 새롭게 보이는 연판 형태로는 가Ⅲ형과 ‘나’형이 있다. 6판 외에도 7판, 5판, 4판이 출현하였다. 중방의 경우 C3형이 등장하여 유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iod of the emergence of inverted heart-shaped lotus design roof-end tiles and the series of its patterns, in addition to estimat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ronology of these roof-end tiles through an analysis of 339 examples appearing in the reports Xigucheng (西古城), Shangjingcheng (上京成), Baliancheng (八連成), which were published in the late 2000s. Based on this, the study tracked the stage and factors of transformation of the inverted heart-shaped lotus design roof-end tiles in Balhae’s metropolitan areas. The inverted heart-shaped lotus design roof-end tiles of Balhae’s metropolitan areas experienced change in three major stages. Stage Ⅰ is the period when Seogoseong Fortress operated as the current capital city, and corresponds to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The 6 ga Ⅰ cross-type C2a and the 6 ga Ⅰ new moon mixed-type B3a motifs were used around Seogoseong Fortress. Considering that 6 ga Ⅰ type lotus petals have not been identified in Sanggyeong Fortress and Palyeonseong Fortress, it is thought that variation in lotus petals subsequently occurred after Stage Ⅰ. Stage Ⅱ corresponds to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when the capital city was moved to Sanggyeong Fortress) to the late 8th century (when the second capital city was returned to Sanggyeong Fortress). Ga Ⅱ type lotus petals appeared and were used, but some decorative elements (such as the ovary) previously used in Stage Ⅰ were also present. 6 ga Ⅱ crosstype C2a, 6 ga Ⅱ spindle whorl-type B3a, and 6 ga Ⅱ spindle whorl-type B2 types were popular. Based on the fact that the 6 ga Ⅱ spindle whorl-type B3a type lotus motif, which had been attributed to Stage Ⅱ, was common in Seogoseong Fortress, Sanggyeongseong Fortress, and Palyeonseong Fortress, it is thought that the pattern symbolizing the city was established from this stage. Stage Ⅲ corresponds to the latter part of the 9th century (when the capital returned to Sanggyeong Fortress) to the former part of the 10th century (when the kingdom collapsed). The lotus petals and other decorative elements of Stage Ⅱ continued to be used, but differentiation in terms of the form of each element also actively took place, becoming more diversified than in Stage Ⅱ. New types of lotus petals can be see in the Ga Ⅲ and Na type motifs. In addition to 6 petal motifs, 7 petal, 5 petal, and 4 petal motifs also appeared. In the case of the lotus ovary, Type C3 appeared and was popular.

목차

Ⅰ. 머리말
Ⅱ. 발해 도성 역심엽형연화문 수막새 현황
Ⅲ. 발해 도성 역심엽형연화문 수막새 분류
Ⅳ. 발해 도성 역심엽형연화문 수막새 변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슬기(Choi, Seulgi). (2022).발해 도성 역심엽형연화문 수막새의 분류와 변천. 한국고고학보, (), 691-719

MLA

최슬기(Choi, Seulgi). "발해 도성 역심엽형연화문 수막새의 분류와 변천." 한국고고학보, (2022): 691-7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