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마립간기 장송의례의 다양성과 재편과정

이용수 409

영문명
The Reorganization Process and Diversification of the Burial Ritual of Silla’s Maripgan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은경(Kim, Eunky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4집, 659~69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적석목곽묘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형태의 의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신라 장송의례의 규칙성, 집단성, 상징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적석목곽묘 축조과정에서 확인되는 유물은 고분의 위계와 규모에 따라 어느 정도는 제도화되어 부장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확인되는 장송의례의 상징은 매우 다양하게 확인된다. 이것은 의례를 주관하는 조묘집단을 통해 피장자의 성격, 고분의 위계, 집단의 정치적·종교적 관념에 따른 표상 전략의 결과로 파악된다. 적석목곽묘의 장송의례는 고분 축조과정에 따라 총 7단계로 파악되고, 그중에서도 매장주체부와 곽상부, 적석부, 봉토에서 확인되는 유물을 통해 매장주체부 관련 의례, 곽상부 의례, 적석부 의례, 봉토축조 관련 의례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고분에서 확인되는 의례 양상과 빈도를 검토한 결과, 적석목곽묘에서 진행되는 의례는 고분 축조과정에서 진행되는 토목공사 의례, 피장자 안녕을 위한 의례, 정치적 후계자 혹은 공동체 결속, 정치적 특권을 과시하기 위한 목적의 의례 등과 같이 상당히 다원화된 형태로 진행되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례 중에서도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고분의 중단면에서 진행되는 납관의례로, 이때 가장 화려하고 성대한 음식공헌의례가 진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적석목곽묘에 부장된 특별기군과 통상기군은 음식의례를 위시한 의례 재편현상을 직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통상기군과 특별기군을 위시한 음식의례는 신라사회에서 이루어진 의례 재편 과정 중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정점을 찍지만 5세기 후반대 이후에는 서서히 축소되고, 상대적으로 묘사가 중요시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은 신라사회 내에서 이전단계의 음식의례 전통은 유지되고 있지만 고분의 피장자를 위한 직접적인 음식의례가 아닌 조상숭배와 권력유지를 위한 측면에서의 의례적 성격이 강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라의 적석목곽묘에서 확인되는 의례의 다양한 양상은 특정 통치자들뿐만 아니라 지역 정치체 내 여러 집단들의 이해관계와 정통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진 의례 재편의 결과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Maripgan Period of the Silla Kingdom, during which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constructed, witnessed a drastic change in burial ritual. This change may be understood as ‘ritual reformation’, undertaken by Silla’s royal palace in order to stabilize the new social ord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diversification of ritual processes that took place at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hich can allow for a examination of regularity, collectivity and symbolism in Silla burial rituals. Artifacts that were deposited du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found to have been systematized to a certain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hierarchy and scale of the ancient tombs, but the simple quantity of artifacts buried in the ancient tombs alone could not explain the social hierarchy or ritualistic characteristics of Silla. Possible reasons for the variety of structures and ritualistic features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include the character of the deceased, the hierarchy of ancient tombs, and the political and religious perspective of the group. It would be reasonable to suggest, based on the performative aspect of rituals which can be strategically used, that the nature of rituals that took place at the tombs reflected the political needs or situations of those undertaking the rituals, as well as the will of the deceased buried in the tomb or his or her ident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frequency and tendency of rituals associated with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the following rituals could be identified as having taken place: rituals associated with civil works undertaken du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cient tombs; rituals for the well-being of the deceased buried in the tomb; rituals that had the purpose of displaying the authority of the political successor, as well as political privileges, etc. From the perspective of such ritual strategies, the most characteristic element was the grand coffin ritual that took place during the process of placing the deceased into the grave. At this time, the most splendid and grand food donation rituals took place.

목차

Ⅰ. 머리말
Ⅱ. 적석목곽묘 축조와 장송의례의 구성
Ⅲ. 적석목곽묘 장송의례의 다양성과 의례재편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경(Kim, Eunkyung). (2022).신라 마립간기 장송의례의 다양성과 재편과정. 한국고고학보, (), 659-690

MLA

김은경(Kim, Eunkyung). "신라 마립간기 장송의례의 다양성과 재편과정." 한국고고학보, (2022): 659-6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