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묵자(墨子)의 ‘평화(平和)’ 개념과 유가(儒家)의 ‘화평(和平)’ 개념 비교
이용수 116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cept of Peace between Mozi and Confucianists: Focused on Their Idea on Music
- 발행기관
-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최순규(Choi, Soonkyoo)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제24권 제2호, 76~106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음악의 기능에 대하여 묵자와 유가의 사상을 비교 분석하여 그것이 평화이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의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묵자는 음악은 모든 구성원의 이익[利]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유가는 음악은 예(禮)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 묵자는 음악이 이익을 구현하면 평(平)을 얻을 수 있어 모두가 만족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유가는 음악은 기(氣)의 조화를 통해 화(和)를 얻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셋째, 묵자는 평이 전제되어야 화가 이루어진다는 선평후화(先平後和)를 주장하였다. 반면에 유가에 의하면 화가 이루어지면 평은 저절로 따라온다는 선화후평(先和後平)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concept of peace can be derived from analyzing the thoughts of Mozi and Confucianists on musi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Mozi argued that music should be used for the benefit (利/Li) of all constituents. On the other hand, Confucianists believed that music should be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manners (禮/Rye). Second, Mozi argued that equality (平/Pyeong) needs to be achieved before music realizes its benefits among constituents. On the other hand, Confucianists emphasized that music needs to first achieve communal harmony (和, Hua) through the spiritual harmony (氣, Chi). Third, Mozi insisted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first, harmony later’ (先平後和, seonpyeonghuhwa), that harmony can only be achieved when equality is a prerequisite. On the other hand, Confucianists emphasized the principle of ‘harmony first, equality later’ (先和後平, seonhwahupyeong) that when harmony is achieved, peace will follow.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묵자의 음악관
Ⅲ. 유가의 『여씨춘추』, 「악기」, 그리고 『순자』의 「악론」에 나타난 음악관
Ⅳ. 음악에 대한 견해 차이로 발생한 묵자의 평화론(平和論)과 유가의 화평론(和平論)
Ⅴ.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삶의 금 줄기인 희망
- 솔로몬 시대 국제평화의 요인과 국제교류 사례 분석
- 양손 협응에 대한 운동조절학적 고찰
- Christological Character of Johannine Discipleship: Implications for Missions in Africa
- 바울이 말하는 예수의 십자가의 ‘화목’ 행위의 구약 제의적 배경연구
- [서평] ‘평화’의 키워드로 『일리아스』 다시 읽기
- 묵자(墨子)의 ‘평화(平和)’ 개념과 유가(儒家)의 ‘화평(和平)’ 개념 비교
- 오슨 스콧 카드(Orson Scott Card)의『엔더의 게임(Ender’s Game)』에 나타난 제노사이드의 그림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