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솔로몬 시대 국제평화의 요인과 국제교류 사례 분석
이용수 94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Factors of International Peace and International Exchanges in Solomon's Period
- 발행기관
-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상래(Kim, Sanglae)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제24권 제2호, 10~39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솔로몬 시대에 “사방에 둘린 민족과 평화를 누렸”(왕상 4:24)다는 소위 팍스 솔로모니카가 어떻게 가능하였는지 그 요인을 분석하고, 솔로몬이 주변 나라들과 나눈 국제교류가 실제로 어떠하였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당시 이스라엘의 평화는 이스라엘을 넘볼 여지가 없었던 주변 강대국의 사정, 부왕 다윗 치세의 후광, 그리고 솔로몬의 정략결혼이라는 세 가지 요인에 의해 가능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솔로몬이 주변 나라들과 나눈 교류의 사례 중에 두로 왕 히람과는 신뢰와 실리에 기반한 협상으로, 스바의 여왕과는 정상 간의 호감으로 우호적 국제관계가 형성되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솔로몬이 역점을 둔 외교 정책인 정략결혼은 바로의 딸과 맺은 결혼이 가져온 단기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결국 종교적 혼합주의를 초래하였다. 그 결과 국론이 분열되고 국력이 약해져 결국에는 평화 시대가 끝나고 민족분열의 원인이 되고 말았음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factors of how the so-called Pax Solomononica, “peace on every side all around him” (1 Kings 4:24) in the time of Solomon, was possible, and what Solomon’s international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were actually lik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ree factors appear to have made the peace of Israel at that time possible: the circumstances of the neighboring powers that had no room to surpass Israel, the halo of the reign of his father king David, and the political marriage of Solomon. As for the international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 case of Hiram, the king of Tyre, trust and profit formed the basis of friendly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n case of the queen of Sheba, inter-personal affinity seemed to have played a major role. Although there was short-term benefit in Solomon’s marriage withPharaoh’s daughter, his political marriage led to religious syncretism and ultimately weakened national power, resulting in the end of peace and in beginning of national division.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솔로몬 시대 국제평화의 요인
Ⅲ. 솔로몬 시대 국제교류의 사례
Ⅳ. 나오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삶의 금 줄기인 희망
- 솔로몬 시대 국제평화의 요인과 국제교류 사례 분석
- 양손 협응에 대한 운동조절학적 고찰
- Christological Character of Johannine Discipleship: Implications for Missions in Africa
- 바울이 말하는 예수의 십자가의 ‘화목’ 행위의 구약 제의적 배경연구
- [서평] ‘평화’의 키워드로 『일리아스』 다시 읽기
- 묵자(墨子)의 ‘평화(平和)’ 개념과 유가(儒家)의 ‘화평(和平)’ 개념 비교
- 오슨 스콧 카드(Orson Scott Card)의『엔더의 게임(Ender’s Game)』에 나타난 제노사이드의 그림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