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진단 비교분석

이용수 1145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digital competency between current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이운지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2집 제1호, 125~14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수준 진단결과를 비교분석하고 미래유아교사를 위한 실질적인 디지털 역량 개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현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64명과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65명이 참여하였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역량 진단 도구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식, 디지털 테크놀로지 이용 실태,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테크놀로지 교육적 활용 도움에 대한 인식, 교육적 디지털 활용 능력 다섯 가지 요소를 포함하여 총 57문항을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디지털 역량 진단 요소 가운데 교육적 디지털 활용 능력은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ICT 활용 수업능력, 원격수업 개발 및 운영 능력, 소프트웨어 및 코딩 수업 능력 세 가지 하위영역에서 모두 현직 교사수준이 예비교사에 비해 높게 확인되었다. 또한, 소프트웨어 및 코딩 수업 능력은 현직교사의 필요성 인식 수준과 예비교사의 교육 경험 수준 보다 실제 역량 진단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들의 수준별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책 마련과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에 교육적 디지털 활용과 관련한 내용을 확대하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ractical digital competency development plan for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gital competency level of current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64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65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measurement of digital competency. The digital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cluded five elements: perception of digital technology, digital technology use status, digital literacy, awareness of educational helps of digital technology, and educational digital application ability. This measurement tool consisted of a total 57 items on a 5-Likert scale.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instructional digital application between the current teacher group and the pre-service teacher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current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pre-service teachers in all three sub-domains of ICT utilization class ability, distance class development and operation ability, and software and coding education ability. In particular, the current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level of software and coding educ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evel at which current teachers recognition level of the necessity and the education experienc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discussed, such as preparing a digital competency reinforcement support plan for each level of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expanding the future education content related to the use of instructional digital use in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진단 도구
3. 연구 절차
4. 데이터 분석
Ⅲ. 연구 결과
1. 디지털 역량 수준 차이 분석
2. 현직유아교사의 디지털 활용 능력 분석
3.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활용 능력 분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운지. (2022).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진단 비교분석. 교육발전, 42 (1), 125-144

MLA

이운지.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진단 비교분석." 교육발전, 42.1(2022): 125-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