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과 답사의 새로운 가능성, Viewpoint fieldwork 탐색

이용수 218

영문명
New Possibilities of Social Studies Fieldwork: Exploring Viewpoint Fieldwork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김상우 윤태경 홍미화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10권 제1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의 주제답사를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의 주제답사는 인간 삶을 공간으로 성찰하는 철학적 주제를 핵심 관점(viewpoint)으로 채택하여 이루어지는 답사를 일컫는다. 연구자들은 사회과 답사의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 답사의 한계점을 재확인하고, 새로운 사회과 주제답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C교육대학교의 답사 사례를 Dewey의 경험론과 Berleant의 참여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 주제답사의 특징과 교육적 의미를 밝힘으로써 사회과교육의 목적에 적합한 주제답사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주제답사에서의 ‘주제’는 답사의 전 과정에 작동하는 일련의 ‘관점(viewpoint)’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지닌 주제답사를 ‘Viewpoint 답사’로 명명하고 그 특징과 의미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첫째, Viewpoint 답사는 학습자로 하여금 미적 장으로서의 공간을 경험하도록 유도한다. 둘째, Viewpoint 답사는 답사에 참여하는 모든 교육 주체가 프로슈머(Prosumer)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주체적이고 유목적적인 사유를 할 수 있게 한다. 셋째, Viewpoint 답사에서의 공간은 학습자의 사유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 공간으로 위치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삶을 만들어가도록 유도하는 공간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점에서 Viewpoint 답사는 사회과교육 실천을 위한 새로운 학습방법이자 연구 영역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viewpoint fieldwork’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concept of viewpoint fieldwork in this study refers to an exploration conducted by adopting a philosophical theme that reflects human life into space as a core viewpoint. Based on the engagement with thematic fieldwork,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reconfirm the limitations of fieldwork in Social Studies and suggest a new form of fieldwork. To do so,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case of C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19 from the perspectives of Dewey’s theory of experience and Berleant’s aesthetic engagement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viewpoint fieldwork that is suitable for the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by revealing i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meaning. The ‘viewpoint’ in viewpoint fieldwork serves as a series of ‘viewpoints’ that operate throughout its entire process. The researchers named this characteristic as ‘viewpoint fieldwork’. I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First, viewpoint fieldwork leads learners to experience the space as an aesthetic place. Second, viewpoint fieldwork allows all educational agents who are engaging with it to act as ‘prosumers’, allowing them to think independently and purposefully. Third, the space in an activity of viewpoint fieldwork is a space that induces learners to create their own lives as a dynamic space that constantly changes through learners’ thoughts. Viewpoint fieldwork can be a new pedagogical method and research area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practices.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이론적 배경
Ⅲ. C교육대학교의 사회과 답사 이해
Ⅳ. Viewpoint fieldwork의 특징과 의미
Ⅴ.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우,윤태경,홍미화. (2022).사회과 답사의 새로운 가능성, Viewpoint fieldwork 탐색. 사회과수업연구, 10 (1), 1-25

MLA

김상우,윤태경,홍미화. "사회과 답사의 새로운 가능성, Viewpoint fieldwork 탐색." 사회과수업연구, 10.1(2022):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