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정서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 및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219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and Social Competence
발행기관
인지발달중재학회
저자명
배영은(Yeongeun Bae) 심미경(Mikyung Shim)
간행물 정보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3권 제2호, 79~9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성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 및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토대로 유아의 정서성 및 사회적 유능감, 아버지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효능감 간의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한 한국아동패널연구의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자료를 기초로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해 분석한 결과 최종 데이터 분석 대상자는 1,379명이었고, 분석대상 아동의 연령은 5차년도 때는 4세, 7차년도 때는 6세였다. SPSS 21.0과 AMOS 21.0을 통해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정서성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유아의 정서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나타났으나, 아버지 양육참여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정서성과 사회적 유능감에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의 정서성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은 주지 않으나 어머니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영향을 주었다. 이는 정서성이 높은 유아의 양육과정에서 아버지의 양육 참여 자체가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자신감을 증진시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임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높이는데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and social competenc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and social competence. Methods: We utilized 2012 to 2014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s Panel Study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only the target data that met the study purpos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e final data analysis subjects comprised 1,379 individuals, and the age of the children analyzed was 4 years in the fifth year and 6 years in the seventh year. Structural models were test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and social competence was teste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ability, the significantly lower the sense of social competence. Second, in the process of the influence of emotionality on social competence, mother's parenting efficacy exhibited a mediating effect, but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did not. Third,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shown to mediate and influence infants' emotionality and social competence. Conclus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and social competenc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sense of social competence but did mediate the efficacy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Its importance lies in the fact that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in the parenting process of an emotional infant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but indirectly affects the increase in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by enhancing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영은(Yeongeun Bae),심미경(Mikyung Shim). (2022).유아의 정서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 및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3 (2), 79-98

MLA

배영은(Yeongeun Bae),심미경(Mikyung Shim). "유아의 정서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 및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3.2(2022): 79-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