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효’의 현대적 재해석

이용수 70

영문명
Modern Reinterpretation of Filial Piety(孝): Focused on Sutra on parental grace(父母恩重經)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null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69권, 101~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효’를 역사적 상황이나 시대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해석하기보다는 현 대에서도 유효하게 논의될 수 있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를 통해 본 ‘효’의 본질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 ‘효’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로부터 출발한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은 ‘자 (慈)’로 표현되는데 『부모은중경』에서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난다. 불교의 ‘보은(報恩)’은 ‘보’는 위에서 아래로의 사랑으로, ‘은’은 아래에서 위로의 사랑을 뜻한다. 불교에서는 부모-자식 간 의 관계를 삼세(전생, 현생, 후생)의 연으로 이어져 있다고 보는데 이는 효가 현재의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나의 가족, 나의 이웃 등과 같이 주변의 모든 이들에게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불교에서의 ‘효’는 단순히 부모-자식 간의 관계인 개 인 간의 관계를 넘어선 모든 사람에게 인(仁)의 마음을 갖는 인류애 차원으로 볼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은중경』은 효와 불효의 모습을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드러낸다. 둘째, ‘자효’는 불교에서 ‘지은’과 ‘보은’으로 볼 수 있는데 ‘은’은 부모 의 사랑, ‘지’와 ‘보’는 이러한 부모의 사랑을 알고 보답하는 것을 뜻한다. 셋째,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은 삼세의 연이므로 둘의 관계가 아닌 나로부터 타인에게 확장되는 사랑이다. 넷째, 부모에게 받은 사랑으로 말미암아 자신의 삶의 길을 깨우치고 가꾸고 또 다른 이에게 선한 영향력을 주는 삶이 불교에서의 ‘효’에 기반한 삶이라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text of Xiaojing itself and aims to clarify the principal essence of ‘filial piety’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nd children as a subject which could be effectively discussed in the modern times. CONTENTS ‘Filial Piety’ stem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The love of parents for their children is also named ‘parental love’ which is much more precisely explained in the ‘Sutra of Parental Grac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utra of Parental Grace’ displays the forms of filial piety and unpiety in specific and realistic ways. Second, the filial piety of parental love(慈孝) in Buddhism can be viewed as knowing of grace(知恩) and the requital of grace(報恩), while grace(恩) means the parental love, and knowing(知) and requital (報) means knowing and repaying the love of parents. Third, the love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is the connection of three worlds, so it is the love that expands from myself to others, not confined to the relationship of two subjects. Fourth, the lifestyle of providing a good influence to others and taking care and enlightening the way of one’s life based on the love received from parents could be called the lifestyle based on the ‘filial piety’ of Buddhis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부모은중경』의 효에 대한 논점
Ⅲ. ‘자효(慈孝)’와 ‘보은(報恩)’의 상호관계성 탐색
Ⅳ. 현대적 재해석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null. (2022).‘효’의 현대적 재해석. 종교교육학연구, 69 (), 101-113

MLA

null. "‘효’의 현대적 재해석." 종교교육학연구, (2022): 101-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