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에 따른 교사들의 이해와 수업 계획

이용수 103

영문명
Teachers’ Understanding and Lesson Planning Based on Two Different Statement Forms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김민정(Kim, Minjeong) 최진영(Choi, Jinyoung)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26권 제2호, 111~12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성취기준 진술방식에 따른 교사들의 이해와 수업계획을 분석하여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개선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해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비교·분석하여 내용요소와 행동요소를 결합한 문장의 형태로 진술된 우리나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시안을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세 명의 교사들이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성취기준 A)과 성취기준 개선 예시안(성취기준 B)을어떻게 이해하고 수업을 계획하는지를 질적으로 탐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의 구조를 그릴 수 있도록 일반화된 지식을 반영하여 진술된 성취기준은 이해 중심 수업을 계획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탐구기능과 같은 큰기능 중심으로 진술된 성취기준은 교과 고유의 기능을 기를 수 있게 하는 수업을 구성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식과 분리되어 진술된 기능 성취기준은 교사들의 지식뿐 아니라 기능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생중심 수업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이 도달해야 하는 지식과 기능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할 수있는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도록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way to improve curriculum standard statements by analyzing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lesson planning of different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s, with a focus o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at, the oversea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ere first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an example to address the problems of Korea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at, is stated in the form of content and behavioral elements combined sentence. Secondly,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 notably, the 2015(standard A) and improvement sample standards(standard B) – and how lessons were planned based on these two standards were qualitatively explored.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reflecting generalized knowledge to enable drawing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helped planning understanding-oriented lessons. Second,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focusing on big skills such as inquiry enabled th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unique skills in class. Last, having skill standards stated separately from knowledge standards helped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learning skills as well as knowledge and helped planning student-centered classes.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d insights to improve curriculum standards to help teachers clearly understand the knowledge and skills they need to reach and open the possibility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목차

I. 서 론
II. 해외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III. 연구 방법
IV. 성취기준 진술방식에 따른 세 교사의 성취기준 이해와 수업 계획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정(Kim, Minjeong),최진영(Choi, Jinyoung). (2022).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에 따른 교사들의 이해와 수업 계획. 교과교육학연구, 26 (2), 111-129

MLA

김민정(Kim, Minjeong),최진영(Choi, Jinyoung).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에 따른 교사들의 이해와 수업 계획." 교과교육학연구, 26.2(2022): 111-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