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를 경험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의 인식 및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 탐색

이용수 3098

영문명
Exploring the Perceptions of Education Practitioners Who Experienced Metaverse and its Possibl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s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조연직(Yeonjik Joe) 신소영(Soyoung Shin) 박현진(Hyunjin Park)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4권 제1호, 33~5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1.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경험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의 인식과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육 분야 종사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수집된 자료를 전사한 후 여러 차례 읽고 이해한 내용을 범주화하는 일반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메타버스에 대한 경험,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이라는 2개 범주와 메타버스 플랫폼, 양면성, 실재감에 대한 경험 및 학교 교육, 성인 학습과 특수교육, 학습 외 활용공간으로의 활용이라는 6개 주제 묶음으로 조직화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은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몰입도, 실재감 등에 대해 긍정, 부정의 양면성을 복합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사회적, 외형적, 환경적 실재감을 경험하였다. 둘째,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으로 학교에서의 수업 시연과 비교과 활동, 특수교육과 직업 훈련, 스트레스 해소 등을 위한 학습 외 활용공간으로의 활용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메타버스를 경험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이 교육 분야에서의 실천 가능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 방법 모색 및 활용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actitioners who have experienced metaverse and plans for its future utilization in education. For this purpose, 9 practitioners in different educational fields were interviewed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As this study is a form of exploratory research, a general case study method was used to categorize the contents after thorough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their transcription. Accordingly, 2 categories are discussed regarding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metaverse and its future educational use. It is also organized in 6 clusters of themes: the experiences in metaverse platform, ambivalence and reality, utilization plans for school education, adult learning and special education, and its use as a space outside of learning. Firstl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recognized the ambivalence between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a metaverse in terms of interaction, immersion, and reality among members on the various metaverse platforms as well as their experience of social, visual, and environmental realities. Secondly,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s of metaverses were proposed for class demonstrations, non-subject related activities in schools, special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and using it as a space outside of learning to relieve academic stress.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proposes practical educational utilization plans from those in the field of education who have experienced the metaverse. Through this research, we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exploring various learning methods utilizing metavers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연직(Yeonjik Joe),신소영(Soyoung Shin),박현진(Hyunjin Park). (2022).메타버스를 경험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의 인식 및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 탐색. 교육연구, 44 (1), 33-53

MLA

조연직(Yeonjik Joe),신소영(Soyoung Shin),박현진(Hyunjin Park). "메타버스를 경험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의 인식 및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 탐색." 교육연구, 44.1(2022): 3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