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동육아 놀이문화의 구성요소 및 교육적 의미 탐색

이용수 20

영문명
A Inquiry into the Featur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Play Culture in Cooperative Child Care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이부미(Boo-Mi Lee)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8권 제2호,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동육아 구성원들이 생산한 놀이담론을 통하여 공동육아의 놀이문화를 이루는 요소와 교육적 의미를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결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공동육아 놀이문화의 요소에는 놀이에 대한 신념, 공간, 시간, 놀이감이 포함된다. 공동육아에서 공유되는 놀이 개념은 삶의 원형, 생명의 에너지였으며 사회적 실천행위의 신념이기도 했다. 그리고 놀이 공간과 시간과 사물의 개방성은 그들의 놀이에 대한 개념이 일관되고도 고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였다. 다음으로, 놀이문화의 요소들이 작동되어 이루어지는 놀이체험의 교육적 함의를 자유놀이와 전래놀이의 맥락에서 탐색하였다. 자유놀이의 다양하고도 잠재적인 교육적 효과와 이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놀이와 학습의 경계, 진정한 교사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반성적 대화가 자유놀이의 교육적 의미였다. 또한 공동육아 구성원들은 전래놀이를 통해 공동체적 체험, 신명나는 놀이판을 체험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전래놀이가 갖는 본질적인 질문인 전통과 현대의 갈등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또 그 갈등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의 일상성의 복원을 제시함으로 전래놀이의 교육적 의미를 부각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play culture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Cooperative Child Care. Play culture in Cooperative Child Care emphasizes the value of play, the space in which the play occurs, the time, and the materials used for play. In Cooperative Child Care, play was perceived as the prototype of living, the energy for the life, the belief of social praxis. The openness of the play space, play time and play materials are other factors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play. The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 s lived experiences of play was analyzed through the teachers reflections about the relative contexts of free play and falk play. Regardless of the ambiguity of the play activity and the learning experience, teachers argued against the various educational and potential effects and their roles in the free play activities. In the traditional falk play, members shared their experiences of living in the community in daily lif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play study that goes beyond developmental-based theori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공동육아 놀이문화의 요소
Ⅳ. 공동육아 놀이문화의 교육적 함의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부미(Boo-Mi Lee). (2009).공동육아 놀이문화의 구성요소 및 교육적 의미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8 (2), 1-33

MLA

이부미(Boo-Mi Lee). "공동육아 놀이문화의 구성요소 및 교육적 의미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8.2(2009):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