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이용수 31

영문명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conceptual maps of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이연선(Lee, Younsun) 김병만(Byung-Man Kim) 이여옥(Yeo Ok Lee) 김미진(Mijin Kim)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13권 제2호, 171~19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지식 및 구조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 생태유아교육에서 ‘자연 및 생태’와 ‘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유아교사가 프로그램 에 대한 종속개념의 수, 위계, 특성점수가 높았다. 셋째, 두 집단 모두 생태유아교육에서 아동관과 발달관보다는 생명사상을 바탕으로 교육을 실천하는 철학적 이해를 더 중요하게 인식함이 드러났다. 넷째, 밀도는 1.00에서 6.88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지식이 위계적이고 조직적이기보다는 평행적이고 전체적인 통합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 전반에 대한 새로운 방향 제시와 교사교육의 체계적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pplying the analysis of conceptual maps, this study focused on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ized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Based on Novak and Gowin s (1984) idea of teachers knowledge and conceptual diagram,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upper category, the number of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by selecting 3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0 service teachers. First, two groups of teachers regarded nature and ecology as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in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Second, in-service teachers had more knowledge of program of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seemed to make an influence on their conceptu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Third, two groups of teachers considered world-view and educational perspective more important than developmental understanding of children. It shows that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may be actualized by philosophy rather than curriculum or pedagogy. With regards to the density and hierarchy of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the range was from 1.00 to 6.99. This range is not wide comparing to other knowledge of content-based subject such as science, social-science, literacy and music.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both groups of teachers might not have strong hierarchical and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concept of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teacher-education program based on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since it shows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the content-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연선(Lee, Younsun),김병만(Byung-Man Kim),이여옥(Yeo Ok Lee),김미진(Mijin Kim). (2014).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3 (2), 171-192

MLA

이연선(Lee, Younsun),김병만(Byung-Man Kim),이여옥(Yeo Ok Lee),김미진(Mijin Kim).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3.2(2014): 171-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