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보육기관 바깥놀이터의 교육적 특징

이용수 22

영문명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outdoor playground of childcare institutes in Japan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이하정(Hajeong Lee)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41~16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의 보육기관에서 나타난 영유아를 위한 바깥놀이터의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 유아교육기관의 바깥놀이터의 환경구성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실제적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 가나가와현, 오오이타현, 사이타마현에 소재하는 5개의 보육기관에서 관찰과 원장과의 면담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보육기관들은 아이들의 자유로운 동선과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바깥놀이터 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아이들의 끊임없는 도전이 허용되는 공간마련과 함께 정적인 공간, 개방된 공간, 자연을 접할 수 있는 공간 등의 다양한 공간을 마련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바깥놀이터를 구성해 나가기 위하여 바깥놀이터를 이용하는 주체인 유아와 교사만이 아니라 이를 지원해 주는 학부모가 함께 만들어 나갈 수 있는 기회마련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이들의 놀이하고자 하는 욕구와 도전하고자 하는 의욕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바깥놀이터의 환경 마련, 유연하고 다양한 바깥놀이터 환경 마련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playground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Japan and find a practical alternative for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outdoor environment in Korea. Results indicated the nursery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study were setting up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to ensure free movement and wide view of the children. It was also found that nursery schools were trying to provide various spaces such as open spaces, static spaces, and natural spaces for them to challenge themselv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ot only infants and teachers, who are using the outdoor playground, but also the parents who support it make it possible to construct the outdoor playground toget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하정(Hajeong Lee). (2018).일본 보육기관 바깥놀이터의 교육적 특징. 생태유아교육연구, 17 (2), 141-165

MLA

이하정(Hajeong Lee). "일본 보육기관 바깥놀이터의 교육적 특징." 생태유아교육연구, 17.2(2018): 141-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