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층모형(HLM)을 활용한 시·도별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분석

이용수 85

영문명
Analysis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Region Using a HLM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박자경(Ja-kyung Park) 최수정(Su-jung Choi) 고귀영(Gwi-young Ko) 유현주(Hyun-joo Yu)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3권 제4호, 77~9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시·도별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관련 특성을 분석하고 학생 수준과 시·도 수준으로 나누어 진로개발역량 간 차이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2019년 ‘학교 진로교육 현황조사’ 자료 중 중학교 학생과 해당 학교의 진로 담당 교사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일원분산분석(ANOVA) 및 사후 검정을 통해 진로교육 특성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정하였으며 학생수준과 시·도 수준으로 나누어 다층모형(HLM) 분석을 통해 진로개발역량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및 진로교육 특성은 시·도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로개발역량의 대부분은 학생 간 차이로 설명되지만 시·도 수준에 따른 격차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의 학생 수준 변인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시·도에 따라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와 진로 개발역량의 관계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진로교육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생 1인당 진로교육 예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학생 개인차원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해당 시·도의 1인당 진로교육 평균 예산이 높아질수록 진로개발역량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학생 진로교육 효과성 증대를 위한 시·도별 맞춤형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자유학기제를 고려한 진로교육 기회 및 조건을 보장해야 한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단위를 더욱 세분화하여 시·군·구 단위까지 분석해야 하며 시·도별 진로교육 격차 연구가 학교급별로 세분화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reer education gap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city and province, and to analyze the gap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influence factors by dividing students into level and state and province level. To this end, the data of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in 2019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as used for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career teachers at that school. In order to identify the career education gap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the QGIS program was used to check the results of the gap,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career education gap was test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ost-test. After that, in order to confirm the career education gap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the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y development was identified through hierarchial linear model (HLM) analysis by dividing it into student level and city/province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ap in the caree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dividing the level of each province and province/province level, the results of the career education gap was large, and most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r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he gap according to the level of explanation was also significa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of the student level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gap in career education that there existed a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depending on the state and province.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career education budget per stud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career activities on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dividual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average career education budget per city/province, the higher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support by city and province should be provided, and career education opportunities and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should be guaranteed. In addition, the research should further subdivide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and analyze it to the city, county, and ward level, and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gaps by city and province should be subdivided by schoo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자경(Ja-kyung Park),최수정(Su-jung Choi),고귀영(Gwi-young Ko),유현주(Hyun-joo Yu). (2021).다층모형(HLM)을 활용한 시·도별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3 (4), 77-98

MLA

박자경(Ja-kyung Park),최수정(Su-jung Choi),고귀영(Gwi-young Ko),유현주(Hyun-joo Yu). "다층모형(HLM)을 활용한 시·도별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3.4(2021): 77-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