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298

영문명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Digital Competenc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esting the Effects of Determinant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추지윤(Chu, Jiyun) 이은지(Lee, Eunji)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1권 제4호, 245~26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의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디지털 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분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개인, 가정, 학교 특성 변인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디지털 역량 수준에 따라 ‘우수 집단’, ‘보통 집단’, ‘부진 집단’의 3개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 특성 변인에서는 성별, 학습에 활용하는 미디어 사용시간, 학업성취도, 창의적 역량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정 특성 변인에서는 부모의 정보 수집 경험, 사이버 가정학습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디지털 역량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학교 특성 변인에서는 학교소재지와 교사의 지식정보처리 역량수업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디지털 사회를 맞이한 학생들에게 원격수업 확대로 인한 디지털 역량의 역할은 중요해지고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 증대를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potential profiles according to digital cap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person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that affect classification using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13.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with Latent Profile Analysis,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advanced, average, and poor according to their digital competency.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is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gender, media usage time utilized for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e competence. Next, the more educational support and cyber home learning are conducted in the family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more likely it is to belong to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digital competence. Finally, in the school s variable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classes of teachers and school location wer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With the expansion of remote classes, the role of digital competence is becoming important to students living in this digital societ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digital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추지윤(Chu, Jiyun),이은지(Lee, Eunji). (2021).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교육논총, 41 (4), 245-264

MLA

추지윤(Chu, Jiyun),이은지(Lee, Eunji). "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교육논총, 41.4(2021): 245-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