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활동 중심 개별적 문제행동 지도 방법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학습과 인식 조사

이용수 137

영문명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and their perceptions of an activity-based individualized behavior support for preschool childre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김영아(Kim, Young-Ah)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3권 제4호, 211~23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들의 문제행동 지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활동 중심 개별적 문제행동 지도 방법을 교수한 후 예비 유아교사들의 학습 결과와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31명은 아동생활지도 과목에서 목표 설정과 삽입된 학습 기회에 대해 3주간 학습하였다. 예비 유아교사들이작성한 목표 진술서와 삽입된 학습 기회를 분석하여 학습 정도를 살펴보았고 과목 수강 전후로 행동지도 역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개별적 문제행동 지도 방법의 이해, 필요, 실행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예비 유아교사들은 질적 기준에 적합한 목표 진술서와 삽입된 학습 기회를 작성하였다. 하지만 지표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목표의 경우 기능성과 일반성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측정 가능성과 위계적 관계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삽입된 학습 기회의 발달 적합성은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구체성 측면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사후검사에서 학생들의 생활지도 역량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유아교사들은 개별적 문제행동 지도 방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이해와 실행에 있어서는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특히, 개별적 문제행동 지도 방법의 필요를 높게 인식한 반면 실행에 대한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예비 유아교사들의 문제행동 지도 역량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활동중심 개별적 문제행동 지도 방법에 대한 학습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효과적인 학습결과를 위한 개선사항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and perceptions of Goal Development (GD) and Embedded Learning Opportunities(ELO), an activity-based individualized behavior support approaches that were instructed in a college class to develop their capacity of guiding children’s behavior. 131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class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were trained over the course of three consecutive weeks to understand GDs and ELOs. The students’ degree of learning in the study was then examined by analyzing the GDs and ELOs submitted by the students with an evaluation tool developed by the author. Additionally, tests were performed both before and after the study as to properly evaluate students’ behavioral guidance capacity.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gain students’ understandings, the necessity and implementation of an individualized behavior support approach. The study found that while most students could competently write GDs and ELOs that met qualitative standards, indicators in analysis showed that GDs generally displayed higher quality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generality, and featured lower quality in terms of measurability and hierarchical relationships. Similarly, ELOs showed high quality in relevance to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but lower quality in regards to clarity. Students generally demonstrated a high evaluation of their behavior management competency in the test performed after the study compared to the one conducted before the study. They were able to positively perceive the necessity of GDs and ELOs, but their perceptions on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GDs and ELOs was relatively lower.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ositive possibilities of applying individualized behavior support approach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and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to guide young children’s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아(Kim, Young-Ah). (2021).활동 중심 개별적 문제행동 지도 방법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학습과 인식 조사. 한국유아교육연구, 23 (4), 211-237

MLA

김영아(Kim, Young-Ah). "활동 중심 개별적 문제행동 지도 방법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학습과 인식 조사." 한국유아교육연구, 23.4(2021): 211-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