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전개된 계획 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72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Planning Activities Developed during the Saemaul Undong in the 1970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저자명
안지민(Jimin An)
간행물 정보
『새마을학연구』제6권 제1호, 61~9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새마을운동에서 전개된 계획 활동에 대한 탐색 연구는 새마을개발의 정의에 근거한 새마을계획의 이론적 고찰, 새마을계획 수립 및 집행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에 대한 학습과 탐구는 새마을계획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 능력을 함양하여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970년대 정부와 마을에서 수행했던 계획 활동에 대한 경험자료로 새마을운동중앙회의 새마을운동아카이브 구술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합리성을 기준으로 정부와 마을의 새마을계획을 비교하였다. 1970년대 정부의 새마을계획은 전형적인 합리계획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같은 시기 마을의 새마을계획은 합의계획에 가까운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마을에서 전개된 새마을계획은 마을주민이 중심이 되어 사업을 선정하고 추진방안을 구체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격렬하게 토론하고 설득하는 등의 마을주민 간 상호작용과 교류가 있었다. 한계도 적지 않았다. 정부의 총열제로 인한 공무원의 간섭과 동원이 있었고, 이러한 배경에서 마을의 새마을계획에 공무원이 깊숙이 관여하기도 하였다. 주민의 심의를 통한 자발적 승낙이 이루어지던 마을총회가 형식적 심의의 장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보여준 정부의 합의계획과 마을의 합의계획 간 상호보완적 수행은 통합된 합리성의 가능성을 부분적으로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Exploratory research on planning activities developed during the Saemaul Undong consist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Saemaul Plan based on the definition of Saemaul development and the basic knowledge necessary for devising and executing the plan. Learning about it and exploring it can foster practical skills based on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Saemaul Pla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using the Saemaul Undong Archives’ oral history from the Saemaul Movement Central Association as empirical data for the planning activities executed by the government and villagers themselves in the 1970s. The government’s and villagers’ Saemaul Plans are compared based on their rationality. The government’s Saemaul Plan from the 1970s is a typical rational plan, whereas villagers’ plans from the same period are marked by an agreed-upon rational plan. In the Saemaul Plan developed by villagers, the villagers themselves chose the projects and provided detailed strategies to conduct them. Further, there were interactions between them, including discussions and heated debates on how to persuade unwilling parties. Moreover, there were many limitations, such as interferences and attempts of mobilization by public officials due to the government’s ranking system, and they were deeply involved in village-level Saemaul Plans. The village general meetings, where voluntary agreements were made through deliberations by residents, also became the venue for rubber-stamp approval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complementary roles played by the government’s and villagers’ agreed-upon plans during the Saemaul Undongof in the 1970s is a good example that shows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rationality.

목차

Ⅰ.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Ⅱ. 계획이론의 변천과 새마을운동
Ⅲ. 연구방법
Ⅳ.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계획 활동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지민(Jimin An). (2021).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전개된 계획 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새마을학연구, 6 (1), 61-95

MLA

안지민(Jimin An).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전개된 계획 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새마을학연구, 6.1(2021): 6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